'마이핀' 발급 사용자 폭주로 홈페이지 다운

2014-08-08 07:01
  • 글자크기 설정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첫날인 7일, 공공아이핀 사이트가 접속자 폭주로 한때 지연됐다. 안행부는 접속 지연 공지를 올렸다[자료 = 공공아이핀 사이트 캡처]


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금지된 7일 주민번호 대체 수단인 ‘마이핀(My-PIN)’ 발급 홈페이지가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한때 다운됐다.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정부가 공식 제공하는 공공아이핀센터 사이트(www.g-pin.go.kr)는 이날 오전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한때 마비됐다. 홈페이지는 곧바로 복구됐지만 신청자가 계속 몰리면서 이날 오후까지도 접속이 원활하지 않아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공공아이핀센터 외 마이핀 발급이 가능한 나이스평가정보, 서울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 등의 사이트는 그런대로 원활하게 운영됐다. 

마이핀은 개인식별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13자리의 무작위 번호로, 주민센터나 인터넷 등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온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 사용해왔던 아이핀(I-PIN·인터넷 개인식별 번호)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까지 확대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반면 관공서와 병원, 금융권 등에서 큰 혼란은 없었다.

인터넷·전화 예약 시스템이 주민번호 기반으로 돼 있는 대부분의 병원에서도 주민번호 수집 금지에 따른 혼란은 없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 환자 불편과 혼란을 줄이기 위해 내년 초까지 병원에 한해 주민번호로 전화나 인터넷 예약을 하는 것을 허용했다.

대형 백화점과 온라인쇼핑몰도 마찬가지다. 온라인쇼핑몰은 지난해 2월부터 회원 가입 시 주민번호를 받지 않고, 휴대폰 번호와 아이핀 등으로 신분을 확인하고 있다. 

정부가 ‘금융 본연의 업무를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 한해 주민번호의 예외적 사용을 허용하면서 금융권에서도 이날 혼란은 없었다. 다만 ‘금융 본연의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여신금융협회를 비롯한 금융기관들은 관련 질의사항을 조만간 정부 관계기관에 전달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