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정부가 민관 전문가와 뭉쳐 제조업 성장을 위한 공장 스마트화 등 제조혁신을 주문하고 나섰다. 특히 정부는 제약업체 현장방문을 첫 발로 자동차·조선·건설기계·전자 등 모든 제조산업에 대한 체력 강화를 진두지휘할 계획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세종시 소재 제약업체인 한국콜마를 방문하고 스마트공장(정보통신기술이 결합된 공장) 추진현황을 살폈다.
우리 정부도 병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고 체력도 약해지는 제조업 부흥을 위해 민·관 공동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의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향후 3년이 우리나라 제조업의 재도약을 결정짓는 ‘골든타임’이라는 점에서 ‘제조혁신 3.0 전략’은 제조혁신의 사활이 걸린 처방전이다.
이날 제약업체를 찾은 윤상직 장관의 행보도 제조업 혁신의 적극적인 동참을 주문하기 위한 포석이다. 윤 장관은 제약업체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제조업 혁신을 위해 민·관 공동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의 세부 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제약업계도 공장 스마트화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한국콜마 등 제약업체 관계자들은 “공장 스마트화를 위해 의약품 유통 정보화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스마트공장을) 생산성 향상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회답했다.
현재 주요 제약업체들은 내년 1월 의약품 일련번호 표시 의무화 시행을 앞두고 스마트공장의 요소기술인 전자태그(RFID)시스템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한국콜마의 경우는 전자태그를 도입한 결과 입고처리 시간 최대 27배 단축 등 생산성 향상과 제약위변조 방지 및 유통안전 확보의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의약품 제조·수입사(564개)의 90%를 차지하는 국내 중소제약업체는 관련기술 개발과 적용에 애를 먹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동반 참석한 생산기술연구원·기계연구원·전자부품연구원 등 국책연구소들은 제조업체에 필요한 참조모델 개발과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최첨단 설비 등의 개발에 주력할 뜻을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스마트공장의 IoT 플랫폼은 네트워크, 하드웨어 연결, 소프트웨어, 보안 등 4대 요소로 구성돼 기업이 독자적으로 하기는 곤란하다”면서 “정부가 표준 플랫폼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국가 산업단지도 스마트 산업단지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SW), 사물인터넷 융합 등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1만개 중소·중견 제조업 공장의 스마트화를 추진 중”이라며 “향후 자동차 업종을 비롯해 조선·건설기계·전자 등 전 산업으로 공장 스마트화를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