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통계청 국가주요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상시종업원 300명 미만) 임금은 대기업(300명 이상)의 52.9%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한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정부가 중소기업을 지원한다지만 여전히 대기업에 유리한 산업 구조 결과"라며 "대기업 납품 단가 후려치기, 기술 가로채기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더 크게 벌어진 것이 임금 격차 확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대·중소기업 직원 중에서 연구인력 임금 격차는 더 뚜렷하다.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중소기업 연구인력 평균 임금은 3305만원으로, 대기업(7250만원)의 46% 수준이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문제는 다른 변수를 통제해도 한국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이 15∼20% 차이난다는 점"이라며 "선진국은 사실상 임금 격차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낮은 임금과 부족한 복리후생 등 이유 때문에 중소기업 인력(이공계) 이직률(16.8%)은 대기업(9.8%)의 두 배에 육박한다. 중소기업 52.0%는 최근 3년간 핵심 인력 이직으로 인해 경영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대·중소기업간 큰 임금 격차는 청년 구직자들의 대기업 선호 심리를 부추겨 취업 '미스매치(부조화)' 현상을 가중 시키고 있다. 중소기업이 '일할 사람이 없다'고 하소연하는 상황에서 구직자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호소하는 것이다.
실제로 중소기업중앙회가 2101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력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외국인을 고용한 업체 81.3%가 그 이유로 '인력난'을 꼽아 순응적인 업무 태도(9.4%), 저렴한 임금(8.7%)를 압도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수한 인력이 중소기업을 기피하고 장기 재직을 하지 않아 급여 수준은 더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