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넘게 헤어져 살아야 했던 남과 북의 이산가족들은 짧은 시간동안 꿈에 그리던 가족을 만나 기쁨을 나눴다.
분단 이후 납북자도 있었지만 한국전쟁 때문에 헤어졌던 가족들이 대부분이었다.
문제는 이제 이산가족들의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번 행사에 참가한 남측 이산가족은 96세 최고령자를 비롯해 90대 25명, 80대 41명, 70대 9명으로 90%가 70세 이상이었다.
북에 두고 온 가족을 다시 만나보지도 못하고 생사조차 모른채 숨을 거두는 이산가족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이처럼 이산가족이 대부분 고령이라는 현실 때문에 앞으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는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문제를 주요 의제로 하는 적십자 실무접촉을 오는 12일 갖자고 북측에 제의했지만 북한은 거절했다.
언제 또다시 이산가족들이 다시 만날 수 있을지 기약도 없다.
이러한 일련의 진행과정을 지켜보며 가슴아파하는 이들이 미국에도 있다. 북한에 가족이나 친척을 남겨두고 미국에 이민을 온 한국계 미국인이 그들이다.
미국에는 재미이산가족 상봉 추진위원회란 단체와 함께13개 주에 미주한인 이산가족 상봉회가 조직되어 있다.
갖가지 경로를 통해 가족 상봉의 방법을 모색하고 이산가족 관련 기록영화도 제작, 그들의 아픔을 널리 알리는 활동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과 달리 가족을 만나기 위해 가야하는 거리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다.
그래서 이들은 무엇보다 가족들의 생사확인, 서신교환, 그리고 화상상봉 같은 것을 중요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비협조로로 이마저도 이뤄진 것은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다.
이런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들을 돕기 위한 움직임은 미국 정치권에서도 몇차례 있었다.
미국내 남북 이산가족 문제가 본격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8년 초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한국계 미국인과 북한 내 친척의 상봉에 대한 보고서를 요구하는 국방수권법(NDAA)에 서명하면서부터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2009년 말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 사안을 최우선 과제로 삼도록 하는 잠정세출안에 서명한 일도 있다.
이런 배경과 함께 또다시 한국계 미국인들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결의안이 미 의회에 발의돼 주목된다.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미국 하원의들이 미국에 사는 한인 이산가족의 북한에 있는 가족과의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H.CON.RES.91)이 지난 6일(현지시간) 연방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된 것이다.
결의안을 발의한 참전군인 출신 의원들 가운데 대표 발의자인 찰스 랭글 의원은 성명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제의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국에 사는 한인들도 가족 상봉을 할 수있도록 북한 당국에 촉구하기 위해 결의안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의원들은 결의안에서 한반도의 분단으로 1천만명이 서로 떨어져 살고 있는데 이 중 일부는 미국 시민권자라며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간간히 열리고 있지만 한국계 미국인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결국 결의안은 한국계 미국인도 북한 내 이산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북한 당국이 허용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이산의 고통은 그 어느 것 보다 클 것이다. 고향을 떠나 이억만리 미국 땅에 와서 살고 있는 것과 함께 북한에 두고온 가족을 그리며 살아야 하는 한국계 미국인들의 그 아픔은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내년은 한반도가 분단된지 어느덧 70년이 되는 해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함께 미국내 이산가족, 그리고 전세계 곳곳에 살고 있는 모든 이산가족들이 북한에 두고 온 가족들을 하루 빨리 만날 그 날이 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