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종도시기본기획 발표

2014-02-24 13:07
  • 글자크기 설정

인구증가 및 생활권 설정 발존기획


               31개 산업단지,주택,유통단지 개발 등으로 발전기획
             신도시 4개로 쪼개 '5개 생활권' 설정,지역 균형 발전


아주경제 윤소 기자 =
▶인구 증가 계획
정부 세종청사가 있는 세종시는 2030년까지 당초인구 50만명보다 늘려 인구목표 80만명으로 정했다. 아직 당초 기대에 크게 못 미치지만, 20만채의 주택을 지으면 목표 달성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세종시의 장기 도시계획도 정부가 설정한 신도시 인구 계획을 바탕으로 마련됐다. 신도시를 제외한 읍면지역 인구를 2013년부터 18년 동안 20여만명 늘리겠다는 것이다.

시에 따르면 2012년말 현재 신도시를 제외한 읍면지역 인구는 9만2천332명이다. 그런데 출산과 사망률만을 고려한 순수 자연증가 인구는 2015년까지는 매년 0.03%씩 오히려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후에는 약간씩 증가하나 2030년까지 자연적 증가인구만을 감안하면 읍·면지역 인구는 9만4천140명으로 2012년보다 겨우 1천808명(2%)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사회적 인구 증가는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됐다. 시가 마무리했거나 추진(예정) 중인 개발 사업은 △주택 건설 3개 △도시 개발 7개 △물류·유통단지 조성 2개△산업단지 조성 11개 △산업클러스터 조성 8개 등 모두 31개에 달한다.

이들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면 외지에서 유입될 인구가 20만5천9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시의 이같은 목표가 지나치게 이상적인 것이라며 회의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계획전문가인 이춘희 전 행복도시건설청장은 "70만명 정도가 적당한 목표일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신도시 건설을 총괄하는 행복도시건설청 주변에서는 읍·면 지역 개발로 인해 신도시 자족기능 확충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 세종시 생활권별 개발 방향.
2030기본계획 용역안에서는 당초 시민 생활권으로 2가지 대안이 검토됐다. 첫째는 신도시와 행정구역 경계를 고려해 △신도시(건설지역) △북부 △남부(금남면) 등 3개 권역으로 나누는 방안이다. 둘째는 신도시를 인근 4개 생활권에 조금씩 포함시켜 모두 5개로 나누는 방안이다. 결국 '지역 균형 개발'이 우선 과제로 부각되면서 둘째 방안이 채택됐다.

이에 따른 생활권은 △북부(전의,전동,소정면) △중부(조치원읍,연기·연서면,신도시 일부) △동부(연동·부강면,신도시 일부) △서부(장군면,신도시 일부) △남부(금남면,신도시 일부)다.

생활권 별 개발 방향을 보면 북부에는 휴양·레저 관광과 관련된 신산업이,중부에는 구도심 활성화 및 도심 기능 강화를 목표로 첨단지식기반 산업이 집중 육성된다. 특히 조치원읍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생활권에는 시청,교육청 등 신도시로 이전할 공공기관 부지에 중앙 부처 산하 기관이나 연구기관,ICT(정보통신기술) 관련 기업 등이 집중 유치된다.

또 동부에는 첨단산업과 물류를 중심으로 의료·복지산업이 집중 유치되고,서부에는 중앙행정 및 문화·국제교류 기능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등과 연계한 역사·문화·관광산업벨트가 구축된다. 이밖에 남부에는 도시행정 및 대학·연구 기능을 중심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계된 및 정주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