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통계청이 조사한 ‘2013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계소득은 전년대비 2.1% 증가했다. 명목증가율은 2009년 1.2% 상승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질증가율 역시 2009년 –1.5% 이후 최저치인 0.8%로 조사됐다.
가계소득 개선세가 둔화된 것은 소득증가율(2.1%)과 사업소득(0.4%) 부진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사업소득은 자영업자 감소세와 월세가격 하락으로 임대소득이 크게 둔화됐다.
지난해 자영업 취업자는 전년대비 6만7000명이 감소했다. 또 수도권 월세가격지수는 2012년 평균 100.3에서 2013년 99.38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012년 대비 증가폭이 둔화된 것은 가계의 근로소득 증가율이 근로자의 구매력 증가율을 크게 하회했기 때문”이라며 “기존 4인 가구가 2인 가구로 분화되면서 가구당 소득이 절반으로 축소된 것도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가계지출은 월평균 326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1.4% 증가했다. 소비지출은 월평균 248만1000원으로 전년대비 0.9% 증가했지만 실질증가율은 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주로 공교육비 및 통신비 등 고정비적 지출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분기별 실질소비지출 흐름을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에 증가세로 전환돼 소비개선 흐름을 나타나는 모습이다. 다만 2인 이상 가구 기준 실질소비지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민계정의 가계소비는 1.7% 증가해 해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기회복세가 가계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소득 증진과 소비 활성화에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저부가가치 자영업의 타업종 전환 유도, 신규유입 억제 등 영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