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 3.0 실현을 위한 정밀위치정보의 대국민 공개방안’을 10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DGPS(Differential GPS)는 해수부가 전국에 17개 기준국을 세워 기존 GPS 오차를 1m 정도로 줄인 고정밀위치정보로서 선박 항해, 연구, 측량 등 특수 목적에 주로 이용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DGPS 이용을 위해서는 고가 수신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해수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년에 걸쳐 DMB 전파에 DGPS 정보를 실어 보내는 기반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일반인도 이르면 내년부터 별도 수신기 없이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DGPS 정보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당장 DGPS를 이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과제를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할 계획이다.
우선 단말기 제조사에서 단말기에 기존 GPS칩 대신 멀티칩을 장착해야하는 부문은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사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지방 소도시나 해상과 같이 DMB가 잘 안 잡히는 지역의 DGPS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등대에 DMB 중계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방송사와 협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 이용자가 DGPS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심귀가 앱이나 구난구조, 장애인 길 안내, 차로 구분 교통정보 등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이번 DGPS 상용화로 모바일 단말기 관련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와 정부에서 추진 중인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해수부가 밝힌 해결과제 이외에도 DGPS 상용화에는 적잖은 걸림돌이 상존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전체 방송콘텐츠 시청률 0.6%에 그치는 지상파 DMB를 활용하는 부문이다.
지상파 DMB는 각종 스마트폰 영상콘텐츠에 밀려 매년 이용자수가 급감하고 있다. DMB 업계에서는 9월 현재 스마트폰 이용자 7000만명 가운데 3000만명이 DMB를 이용하고 있다고 추산 중이다.
하지만 DMB 수신이 되지 않는 음영지역이 많고 지역을 통과할 때 끊김 현상 등이 잦아 DGPS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지 우려가 높다.
통신사와 협의 문제도 남아 있다. 통신사의 경우 DGPS가 어느 정도 수익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용화가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DGPS의 데이터 수신 부담 문제도 우선적으로 해결할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임현철 해수부 해사안전국장은 “기술적 문제는 DMB 업체, 통신사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 GPS에서 한계를 보인 오차범위를 줄여 재난안전, 위치추적 등 유용하게 활용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