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조선 수출액은 378억 달러로 392억 달러를 기록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선박 수만 봐도 중국이 58척으로 한국의 20척을 크게 웃돌았으며, 선박 수주 점유율의 경우 중국보다 불과 1.7%포인트 앞선 35%에 그쳤다.
이에 대해 업계는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여파가 선박 수주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 지난해 국내 조선업체의 선박 수주량은 717만1000CGT(표준화물선 환산t)로 2011년보다 38%나 줄었다.
문제는 이 같은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주난에 STX조선해양 같은 대형 조선업체까지 비상이 걸렸다는 점이다. 자칫하다가는 국내 조선업의 근간인 이들이 무너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조선사들을 위한 해양구조물 수출 프로젝트 지원, 단독 선박융자 프로젝트 등 다양한 금융지원책을 내놨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불황을 겪는 조선산업에 대한 금융권의 여신 지원이 소극적이어서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국책금융기관과 일반은행이 배 건조비용의 최대 80%까지 선박제작금융을 지원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연간 선박 수출액의 10%에도 못 미치는 선박제작금융을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경쟁력이 떨어지는 중국 조선업이 급성장한 배경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금융책이 있었다는 것. 국내 조선업체에도 이 같은 정부의 전폭적인 금융지원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기후변화와 환경보호를 고려한 차세대 조선산업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규제가 2013년부터 발효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IMO 규정에 따라 오는 2015년과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량을 각각 10%, 20% 감축하지 못한 배는 운항이 전면 금지된다"며 "'그린십' 및 '에코십' 등 에너지 고효율 저탄소 선박에 대한 수요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국내 빅3 조선업체(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도 '선박용 배기가스 저감설비', '서브시(Sub Sea)' 준비 등 친환경 선박에 올인하는 분위기"라며 "다양한 IT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십을 개발해 운항정보 제어, 연비절감 등 후발 경쟁국이 따라올 수 없는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관건"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한진현 산업부 제2차관은 이날 부산상공회의소가 주최한 간담회에 참석, STX조선해양 협력업체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김성찬 새누리당 의원도 윤상직 산업부 장관을 만나 STX 정상화 대책 마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