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엔화대출 뚝뚝…기업들, 원화대출 전환은 '글쎄'

2013-04-26 09:18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엔화 약세가 가속화되면서 은행권의 엔화대출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엔저 현상의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기존의 엔화대출을 원화로 전환하는 규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기업·외환은행 등 6개 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3월 말 현재 약 7220억엔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7608억엔에서 석 달 새 388억엔이 줄어든 것이다.

엔·달러 환율은 최근 100엔 돌파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다. 일본 정부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엔화는 지난해 연말부터 급락하기 시작했다. 주요 20개국(G20)의 재무장관들이 사실상 엔저를 용인하면서 엔화 약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엔저 시기를 타고 기업들이 대출을 상환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07~2008년께 엔화대출은 저금리에 엔화 약세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100엔당 800원가량이었던 것이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1500원으로 훌쩍 뛰었다. 이 때문에 당시 대출을 받은 기업들은 엔고로 인해 대출금이 대폭 뛰었던 아픈 경험이 있다. 이 같은 과거를 감안, 기업들이 원리금 상환부담이 낮아진 지금 아예 빚을 털어버리자고 판단한 것이다.

금융감독원에서 환투기 방지 차원에서 엔화대출을 자제하게끔 관리한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6개 은행 가운데 신한은행은 석 달 만에 100억엔 이상 대출이 감소했다. 하나은행도 지난해 말 1102억엔을 기록했던 대출이 지난달 말 1040억엔으로 60억엔가량 줄었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 한 달 동안에만 25억엔이 빠졌다.

은행들은 엔화대출을 보유한 기업들에 원화 전환 서비스도 실시하고 있다. 문의량은 많은 상황이나 사실상 전환 규모는 크지 않다. 기업들이 엔화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타이밍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1월부터 엔화대출을 원화로 전환하면 환율을 최고 50%, 금리도 최고 1%포인트 우대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했다. 중도상환수수료 면제와 기업진단 등 혜택도 풍성하게 담아 내놨지만 정작 이용실적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현재 실적은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지만 문의는 많다"며 "아무래도 엔화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니까 기업들이 추이를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은행이 지난해 말 '엔화대출 원화 전환 사전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화전환 의사가 있는 중소기업 251곳 중 74.9%(188곳)가 '원화값이 1100원 미만으로 떨어져야 전환하겠다'고 응답했다.

부산은행도 1월 말부터 외화대출을 원화로 전환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이 역시 금리 및 환율우대,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등을 내걸었다. 그러나 이달 19일 기준으로 전환실적은 17건(237억원)에 불과하다.

한 국책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외화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엔화대출 규모 자체가 그리 크지 않다"며 "기업들이 이미 키코 사태를 경험하면서 외화대출에 있어 다소 소극적인 편"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들도 환율변동을 예상하기 어려워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이를 권유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전환에 대한 혜택과 외화대출 시 환 리스크 등에 대해 안내하는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