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방정부 극빈층에 휴대폰 강매..'이건 아니야'

2013-01-27 20:0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의 한 지방정부가 생활보호대상자들에게 휴대전화를 강매한 사실이 중국중앙(CC)TV를 통해 폭로돼 논란이 일고 있다.

CCTV는 26일 중국에서 심각한 빈곤지역으로 꼽히는 깐수(甘肅)성 장(漳)현 마을의 간부가 생활보호대상자들에게 자매결연을 통한 민생개선을 위한 조치라며 휴대전화를 강매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시진핑(習近平) 신 지도부가 민생개선 및 비리척결을 주요과제로 강조하는 상황에 이같은 사실이 중국 관영 CCTV를 통해 폭로돼 더욱 이목이 집중됐다.

해당 지방정부 관계자는 " 생활보호대상자들의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기관과 자매결연 사업을 벌이고 가난한 농민에게 휴대전화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조치"라며 "다른 현의 사업을 벤치마킹한 것 뿐" 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연간 수입이 1600~1700위안(한화 27~29만원)에 불과한 생활보호대상자들에게 기기값 200위안(3만4000)원과 요금까지 부담해야하는 휴대전화는 불필요한 '사치품'인데다가 문맹이 많아 문자메세지를 통한 정보서비스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다. 한 생활보호대상자는 "휴대전화를 구입하지 않으면 정부 보조금이 끊길까 두려워 휴대전화 판매업자와 결탁한 간부의 요구에 따를 수 밖에 없었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CCTV는 이전에도 생활보호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가축, 복권 강매나 강제노무 동원등 민생정책이 변질된 사례가 있었다고 이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현재 중국에는 가구 소득이 지역별 최저기준에 못 미치는 생활보호대상자만 8000만명에 육박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