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구직자 1355명을 대상으로 ‘가장 피하고 싶은 면접관 유형’을 설문한 결과, △‘공격형’이 44.9%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다른 지원자와 토론, 경쟁 등을 부추기거나 비교해가며 평가하는 △‘비교형’(18.1%), 특정 행동 상황을 연출하거나, 심리테스트식 질문을 던지는 △‘시험형’(5.7%), 장점 등이 눈에 띌 경우 특정 지원자에게만 심층질문 등으로 집중 파악하는 △‘편애형’(5.4%) 등의 면접관을 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부담스러워 하는 이유는 기피하는 면접관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공격형과 △비교형을 선택한 구직자는 ‘면접 분위기가 경직, 긴장돼서’를 첫 번째로 꼽은 반면, △시험형과 △편애형의 경우 ‘공정, 객관적인 평가를 받지 못할 것 같아서’를 가장 많이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
실제로 이들 중 61%는 피하고 싶은 유형의 면접관을 만난 경험이 있었다.
당시 본인의 면접 결과를 스스로 평가한 점수는 평균 45점으로, 낙제 수준이었다.
또, 부담스러운 면접관을 만났을 때 4명 중 1명(25.5%)은 면접 중도에 합격을 포기하는 마음을 먹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구직자들은 어떤 유형의 면접관을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을까?
일상 등을 소재로 수다를 떨 듯 면접을 진행하는 △‘친근형’(55.3%) 면접관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계속해서 직무에 관련된 내용을 위주로 질문하는 △‘전문형’(14.4%),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내용을 꼼꼼하게 체크해가며 질문하는 △‘탐정형’(10.8%), 한 가지 내용에 집중해 다양한 답변을 유도하고 성향을 파악하는 △‘심층공략형’(5.2%)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무려 90.5%의 구직자가 면접관의 스타일에 따라 면접 성패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그 수준은 ‘자신감을 잃을 정도의 영향’이 4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집중력이 흐려지는 정도의 영향’(33.7%), ‘면접을 망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영향’(21.4%) 순이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구직자들이 가장 꺼리는 압박형 면접 스타일을 기업이 선호하는 이유는 위기상황에서의 빠른 판단력과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함”이라며 “다른 지원자들 역시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인 만큼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 또한, 정답이 없는 경우가 많아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니 평소 마인드 컨트롤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는 연습을 해두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