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오는 23일 10년 만기 후순위채 6000억원 발행을 목표로 수요조사에 들어간다. 국민은행은 지난 4월 7000억원, 지난달 5000억원 규모의 10년 만기 후순위치를 발행한 바 있다.
신한금융지주는 이날 2001년 지주 설립 이후 처음으로 후순위채 3500억원을 발행했다. 신한금융의 후순위채 발행은 국내 금융지주사 중 첫 사례로 기록된다.
기업은행도 올해 말까지 7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미 두 차례 후순위채 7000억원을 발행한 농협은행은 연내 7000억원을 추가 발행하기로 했다.
SK증권에 따르면 국내은행이 올 들어 9월까지 발행한 후순위채 규모는 7조710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지난달에는 시중은행의 후순위채 발행이 모두 7건으로, 금융위기 이후 월간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국내은행이 올해 후순위채권을 먼저 발행해 절감할 수 있는 비용으로 400억원 가량을 추산했다.
이처럼 은행들이 후순위채 발행을 서두르는 것은 내년부터 자본금 규제를 강화하는 바젤Ⅲ가 도입되기 때문이다.
6월 말 국내은행의 BIS 비율은 13.83%로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다. 그러나 국민·신한·우리은행 순으로 보완자본 의존도가 높아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바젤Ⅱ’에서는 후순위채가 보완자본으로 인정되지만, 바젤Ⅲ에서는 조건이 까다로워졌다.
은행들이 후순위채를 발행해 보완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선 생존 불가능 시점, 파산 때까지 고려한 조건을 걸어야 된다. 따라서 후순위채 발행 금리가 올라가고 은행들의 발행 부담도 커지게 된다.
아울러 웅진그룹 사태로 대규모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은행들의 수익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건전성 악화에 대비한 자본적정성 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의 후순위채 발행 증가로 투자자의 피해를 막고자 ‘미스터리 쇼핑’으로 소비자에게 후순위채 특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지 점검키로 했다. 또 재무구조가 취약한 회사는 발행을 억제하는 등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