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요 암 생존율 세계 최고 수준

2012-01-01 09:57
  • 글자크기 설정
국내 의료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건강 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요 암 생존율이 미국·유럽·일본 등 주요 선진국을 웃돌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작성한 국가암등록통계(2009년 기준)에 따르면 국내에서 암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위암 환자(2005~2009년 발생)의 5년 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5.3%로 미국(26.0%), 유럽(24.9%), 일본(62.1%), 캐나다(22.0%)보다 높았다.

비교에 사용된 미국과 유럽, 일본, 캐나다의 통계는 각각 1999~2006년, 2000~2002년, 1997~1999년, 2004~2006년 발생자 기준이었다.

간암 역시 국내 생존율이 25.1%로 미국(15.2%), 일본(23.1%), 캐나다(15.0%)를 웃돌았고, 자궁경부암의 경우도 미국(70.2%), 유럽(60.4%), 일본(71.5%), 캐나다(70.0%)와 비교해 우리나라(80.3%)가 높았다.

우리나라는 미국·유럽 등에서 더 흔한 대장암과 유방암의 생존율에서도 우위를 보였다.

우리나라 대장암 생존율은 71.3%로 미국(65.0%), 유럽(56.2%), 일본(65.2%), 캐나다(61.0%)를 웃돌았다. 유방암(90.6%)은 유럽(79.0%), 일본(85.5%), 캐나다(82.0%)보다 높고 미국(89.0%)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예후가 가장 좋은 갑상선암에서도 우리나라의 생존율(99.7%)은 이들 주요 선진국(83.2~97.3%)에 앞섰다.

그러나 폐암의 경우 국내 생존율(19.0%)이 미국(15.8%), 유럽(10.9%), 캐나다(12.0%)보다 높지만 일본(25.6%)에는 미치지 못했다.

전립선암도 일본(75.5%), 유럽(77.5%)와 비교하면 우리나라가(87.6%) 낫지만 미국(99.1%), 캐나다(95.0%)에는 뒤졌다. 전립선암의 경우 북미에서 남성에게 가장 많은 암으로, 이들 지역의 관련 조기 진단 기술과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달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소아암의 생존율도 우리나라가 열세였다.
우선 암에 걸린 전체 14세이하 어린이의 5년 생존율이 76.0%로 미국(81.5%)보다 낮았다. 소아암 종류별로도 백혈병(73.1%), 뇌 및 중추신경계(61.9%), 호지킨 림프종(79.6%) 모두 미국(84.0%, 74.4%, 86.6%)를 밑돌았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