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국내총생산(GDP) 갭은 정부 또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공식 통계는 아니지만 통상 경기부양 또는 긴축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쓰인다.
디플레이션갭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잠재GDP를 뺀게 ‘마이너스’란 의미로 생산능력을 다 써보지도 못한 채 경기침체에 빠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19일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내년 경제성장률은 3.6%로 잠재성장률 3.8%를 소폭 밑돌 전망이다.
실질 GDP에서 잠재 GDP를 뺀 값(GDP갭)은 -7조7000억원으로 올해 -5조9000억원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GDP갭은 플러스(+)면 인플레이션갭(inflation gap), 마이너스(-)면 디플레이션갭이라고 부른다.
인플레이션갭이 높으면 그만큼 물가상승 압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가 경제의 공급능력을 초과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디플레이션갭이면 경기침체 심화를 의미한다.
2008년 4조2000억원에 달했던 GDP갭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9조2000억원으로 급감했다. 1년만에 인플레이션갭에서 디플레이션갭으로 전환한 셈이다.
이후 한국경제가 금융위기에서 빠르게 회복하면서 폭을 줄여왔지만, 최근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경기침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내년에는 다시 확대될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과 현대경제연구원도 역시 내년에 디플레이션갭이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 실질성장률은 3%대 후반, 잠재성장률은 3%대 후반에서 4%대 초반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혔고 올해 초 GDP갭이 플러스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던 현대경제연구원은 마이너스 달성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 폭도 더욱 좁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내년에는 투자와 민간소비가 줄어드는 등 경제활동이 전반적으로 올해보다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