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독도 영토표석이 정부 차원에서 건립됐음을 보여주는 공문서가 공개돼 한국전쟁 직후 독도 경비사(史)를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독도 영토표석은 흔히 울릉도 주민이 조직한 독도의용수비대가 세운 것으로 알려졌지만, 민간이 중심이 돼 당시 독도를 지켰는지는 여러 논란이 있었다.
24일 시민단체 독도수호대가 국가기록원에서 입수해 공개한 정부 문서에 따르면 당시 외무부는 내무부에 공문을 보내 독도에 표석을 설치해달라고 요청했다.
'일본 관헌의 독도 불법 침범에 관한 건'이라는 제목의 1953년 9월24일 문서에는 '독도가 실효적인 관할 하에 있다는 유형적인 증거로서 측량표 설치에 관한 공사는…'이라고 적혀있다.
문서에는 또 '독도 문제에 관한 관계관회의를 개최해 독도에 측량표를 설치하도록 결의하였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당시 외무부와 군(軍) 등 범정부 차원에서 독도 문제를 심각하게 여겨 대책을 마련한 사실도 확인됐다.
외무부의 이러한 요청은 경북도를 거쳐 울릉군에 하달됐고, 울릉군은 표석을 제작해 11개월 뒤 현재 위치인 독도 동도 몽돌해안에 세웠다.
울릉군은 이듬해 8월26일 경북도 내무국장에게 보낸 '독도표석 건립에 관한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에서 '단기 4287년(서기 1954년) 8월24일 19시 독도 동도 서쪽 해안 위령비 부근에 건립했다'고 보고했다.
경북도청의 다른 문서에는 '표석제작비 70,000환, 표석건립비 315,000환, 잡비 15,000환' 등 예산 집행내역도 자세히 기록됐다.
문서를 종합하면 독도 영토표석은 알려진 것과 달리 외무부가 일본의 물리적 침범에 위협을 느껴 내무부에 요청하고 경북도와 울릉군 등의 협조를 거쳐 세워진 정부 차원의 시설물이 된다.
독도수호대 관계자는 "독도 영토표석의 건립 과정은 그동안 일부 의용수비대원의 왜곡과 관계 기관의 무관심 때문에 잘못 전해져왔다"며 "독도를 침탈하려는 일본의 시도에 정부가 나서 영유권을 지키려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