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치의 교수님 왜 안 와?"

2010-09-23 19:27
  • 글자크기 설정

환자 가족들이 병원에서 가장 당혹스러워하는 일 중에 하나가 환자가 더 이상 소생 가능성이 없게 되었을 때 담당 주치의 교수가 그때부터 환자를 직접 회진하지 않는 것이다.

암, 백혈병 등의 진단을 받으면 온 가족은 동원할 수 있는 인맥을 모두 동원해 의사를 소개 받아서 대학병원이나 대형 병원에 찾아간다. 처음 만난 주치의 교수는 "나만 믿으면 완치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말라"며 안심시킨다.

환자 가족들은 이렇게 믿음을 준 의사가 너무 고마워서 수술이 끝나고 나면 촌지를 주기도 한다.

그러나 치료가 모두 성공적일 수는 없다. 최선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회복이 불가능해 죽음을 기다리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문제는 이때부터 환자 가족들은 담당 주치의 교수를 거의 만날 수 없다는 것이다.

환자 가족들은 “저희 주치의 교수님 왜 안 오시냐? 저희 주치의 교수님 만나게 해달라”고 애원하지만 소용이 없다.

이때부터는 담당 레지던트 수련의만 만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환자는 사망하고 환자 가족들은 분노 가운데 장례를 치른다.

‘하얀거탑’ ‘외과의사 봉달희’ ‘뉴하트’ ‘종합병원2’ ‘산부인과’ 등 최근 의학드라마가 유행한 바 있다.

이러한 의학드라마에서 우리는 환자의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의사가 환자의 마지막도 함께하는 것을 보면서 가슴 찡한 감동을 받는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왜 담당 주치의 교수는 자기 환자의 죽음을 같이 하지 않고 외면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환자가 치료 중 소생가능성이 거의 없게 되었을 때 환자 가족들을 만나게 되면 폭행을 당할 수도 있고 말을 잘못하면 소송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환자 가족들은 바보가 아니다. 환자가 암이나 백혈병 진단을 받으면 인터넷이나 의학서적을 통해 그 질병에 대해 공부를 한다.

의사만큼은 아니지만 적어도 그 질병의 치료방법이나 치료성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아는 것이 보통이다.

의사가 신이 아닌 이상 어떻게 모든 환자를 치료할 수 있겠는가? 이러한 사실은 환자 가족들도 잘 알고 있다.

백혈병 환자 가족들은 대부분 장례를 모두 마치고 난 뒤 감사인사를 하러 한국백혈병환우회 사무실로 찾아온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처음에는 자기가 100% 고쳐줄 것처럼 장담하더니 막상 환자가 죽을 때가 되니까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다"고 분통을 터트리며 절규하곤 한다.

막상 환자가 죽게 되면 환자 가족들에게 "최선을 다했지만 고인의 명목을 빕니다"라고 위로의 한마디라도 할 수 있는 것은 아닌가? 그것도 바빠서 힘들면 문자라도 보내면 되지 않겠는가!

환자는 대개 본능적으로 자신의 죽음을 알게 된다. 자기를 치료하는 주치의 교수가 어느 날부터 오지 않으면 환자는 불안해 하기 시작한다.

"주치의 교수님, 왜 안와?"라고 물으면 환자 가족들은 "교수님, 해외 학회에 출장 가셨어"라고 거짓말 하지만 그러한 거짓말은 금방 들통날 수밖에 없다.

"엄마, 나 곧 죽지!"라고 얘기하는 자녀들의 애처로운 눈빛을 본 적이 있는가?

우리는 환자의 처음뿐만 아니라 마지막까지 함께 하는 의사를 원한다. 그 마지막이 완치되어 퇴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치료에 실패하여 죽는 것까지 말이다.

환자가 원하는 진정한 명의(名醫)는 병만 잘 고치는 의사가 아니라 환자의 마지막도 함께 하는 의사이다.

안기종(한국백혈병환우회 대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