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최근 중국 시중은행들이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자산증권화 및 중개업무 확장을 통해 은행권의 자금 조달 경로를 다각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었다.
△ 대규모 자금조달 러시
중국 경제주간지 이재주보(理財周報)에 따르면 현재 기업공개(IPO)를 진행 중인 농업은행을 포함해 중국 증시에 상장된 14개 은행은 최근 6개월 동안 총 3501억 6400만 위안(61조7800억원 가량)에 달하는 자금을 주식시장을 통해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향후 중국 공상은행이 상하이·홍콩 증시를 통해 450억 위안의 증자를 추진한다는 계획이 현실화되면 액수는 훨씬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작년 중국 은행권에서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신규 대출규모를 총 9조5900억 위안으로 늘리면서 대규모 자금조달 압박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중국 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CBRC)가 대형은행과 중소은행에 각각 자기자본비율을 11%, 10% 이상으로 높일 것을 요구하자 유상증자 방안을 자금확충의 주요 방안으로 선택한 것.
그러나 유상증자와 같은 ‘패스트푸드’식 방안에 의존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자금조달이 어렵다는 것이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잇따라 쏟아지는 유상증자 물량은 금융시장에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주식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는 주장이 은행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 자산증권화 + 중개업무
중국 시중은행이 자산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자산규모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자산증권화와 중개업무 확장을 이상적인 자금조달 수단으로 꼽았다.
자산증권화란 비유동성 자산을 증권으로 전환해 금융시장에서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현금화시키는 행위를 일컫는다. 즉, 은행은 이를 통해 자금조달수단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자산회전율·자기자본비율 등 재무지표를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양카이셩(楊凱生) 공상은행 행장은 일전에 “중국의 수많은 은행들이 주식시장을 통한 증자에 의존해 자금을 조달하려 한다면 자본시장에 엄청난 부담이 될 것”이라면서 “자산을 담보로 한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은행 자산회전율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사실 공상은행은 2007년 처음으로 신용대출 상품을 증권화해 은행 간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유통 거래한 바 있다.
이밖에 화룽(華融)자산관리공사도 2001년 시범적으로 부실대출을 증권화하기 시작했다. 2005년부터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CRBC의 지원 아래 은행 간 시장에서 회사채·모기지대출·부실대출 ·중소기업대출 등 신용대출자산을 증권화한 상품을 유통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자산유동화가 서브프라임 위기를 키웠다는 비판이 여기저기서 제기되면서 2008년 말 중국에서 신용대출자산 증권화 사업은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다.
이에 대해 양 행장은 “자산유동화 증권 자체가 금융위기의 주범은 아니다”라면서 “금융위기를 거울로 삼아 은행업계의 건전한 발전에 부합하도록 자산증권화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사태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뿐만 아니라 중국 은행권이 중개업무 비중을 늘려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자기자본을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샨샨(李珊珊) 중국 교통은행 국제은행부 연구원은 “최근 들어 중국 은행업계에서 중개업무를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면서 “중개업무 수익비중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중국 은행권의 중개업무 비중은 10%로 해외 은행의 40~50%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중개업무 중에서도 최고위층을 대상으로 한 재태크 업무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주더전(朱德貞) 중국민생은행 최고투자경영자(CIO) 겸 프라이빗뱅킹(PB) 대표는 “VVIP 급인 PB 고객의 자산규모가 지점 한 개에 맞먹는다"면서 별도의 인원이나 자본금을 들여 지점을 설립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낫다”고 말했다.
baeinsu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