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휴대폰, 중국사업의 '환골탈태' 스토리(편집중)

2010-07-08 16:01
  • 글자크기 설정

초콜릿폰·롤리팝폰·쿠키폰…. 달콤하고 톡톡 튀는 이미지로 글로벌 휴대폰 시장을 휩쓸었던 LG전자히트 상품이다. LG전자는 2008년 11.2%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달성해 글로벌 휴대폰시장 5위를 선점했다.

그러나 LG전자 휴대폰의 중국시장 성적표는 초라하기 그지없었다. 2008년 상반기 중국시장 점유율은 2%, 중국 휴대폰 업체 중 다섯 손가락 안에도 들지 못했다. 그러나 현재 LG중국 휴대폰사업부는 대대적인 변신 중이다.

중국의 21세기경제보도는 8일 중국에서 벼랑 끝까지 몰렸던 LG휴대폰이 ‘중국에 있는 LG’가 아닌 ‘중국의 LG’로 환골탈태한 스토리를 소개했다.

◇ ‘로마에 오면 로마법을 따르라’

LG전자는 중국시장에서 '중국'을 간과했다.

LG전자에서는 외국 법인에도 한국인 경영인을 두는 것이 ‘전통’이었다. 그러나 중국에도 까막눈인 경영인은 있으나마나 한 존재였다. 본사의 승인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의사결정이 지체되는 경우도 많았다.

수시로 교체되는 한국인 경영인도 문제였다.매번 경영인이 교체될 때마다 계약을 다시 맺어야 했던 협력업체들은 하나 둘씩 LG 핸드폰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중국 내 LG핸드폰 유통채널은 쪼그라들었다.

또한 LG전자에 관리직으로 스카우트된 중국 현지인은 차별대우를 받았다. 아무리 애를 써도 최고위직으로 올라갈 수 없었다. 한국인은 중국인을 100% 신뢰하지도 않았다. LG중국 핸드폰사업부에서 고위관리직으로 근무했던 한 인사도 “중국현지인은 회사 내에서 힘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LG휴대폰 중국 사업이 존폐위기에 몰렸을 때 LG전자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 들었다. 바로 현 LG전자 중국휴대폰사업부 런웨이광(任偉光) 총경리의 전격 영입이다.지멘스·노키아·모토로라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 왔던 런 총경리는 LG전자의 ‘첫 실험작’이었던 것이다.

◇ ‘위기(危機)’는 위험과 기회의 합성어

2009년은 전세계 휴대폰시장이 10년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혹독한 해였다.

모토로라·소니에릭슨 등 글로벌 휴대폰 업체는 하나 둘씩 쇠락의 길로 들어섰다. LG전자는 마지막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배수진'을 쳤다. 중국시장에 2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결심한 것.

LG전자는 2009년 과거 세 배에 달하는 60여 종류의 신제품을 중국에 선보였다. 판매유통업체도 기존의 7000개에서 1만3000개로 확장했다.

마케팅 전략도 대대적으로 재편했다. 초콜릿폰 성공을 계기로 젊고 달콤한 LG폰만의 이미지를 대대적으로 내세웠다. 특히 TV·지하철역·길거리 전광판 광고를 통해 LG휴대폰만의 달콤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LG휴대폰은 2009년을 기점으로 중국에서 다시금 기지개를 펴고 있다. 현재 월 매출은 80만대에 달한다. 런 총경리는 2010년 1000만대 휴대폰 판매가 목표라고 강조했다.

◇ LG휴대폰의 앞날은…

아직까지 LG휴대폰의 중국 시장점유율은 6%. 전 세계 시장점유율 11%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더군다나 스마트폰 발전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늦장 대처했다는 비난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중국시장에 내놓은 스마트폰 KT878에 대한 제품 결함 문의는 빗발치고 있다.

그러나 LG전자는 새롭게 출시한 옵티머스폰으로 반격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 중국휴대폰 사업의 앞날이 기대되는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