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만 회선에 연간 통화료만 1200억원 규모인 공공기관 인터넷전화 서비스 시장을 잡기 위한 통신사업자 간 경쟁이 예고된다.
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내 법제처, 통일부, 행안부, 교과부, 소방방재청 등 5개 입주 부처는 인터넷전화 구축을 완료하고 이달 중 각 부처별로 서비스 사업자 선정에 들어간다.
또 서울시, 지식경제부 우정사업본부, 기상청, 국세청 및 각 지자체 등 굵직한 기관들이 올해 안에 인터넷전화 도입을 완료할 예정이고 과천, 대전 중앙청사는 내년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공공기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업자로 선정된 KT, SK브로드밴드, 통합LG텔레콤, 삼성SDS는 개별기관을 대상으로 2차 수주전에 본격 돌입할 전망이다.
정부는 기존 공중전화망 기반의 전국 단일행정전화망 서비스가 올해 중단됨에 따라 기존 전화시스템을 인터넷전화로 대체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 행정기관 행정전화망 서비스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모두 65만 회선에 이르며 연간 통화료는 1182억원에 달한다.
각 기관별로 인터넷전화 사업에 책정된 예산은 1인당 20만원이다. 예컨대 세종로 중앙청사의 경우 인터넷전화기 4183대 설치 총 사업비는 14억5000만원에 달했다. 각 기관별 구체적인 발주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9619개 공공기관의 65만 회선에 이르는 인터넷전화망 도입을 2012년까지 50%, 2015년까지 100% 완료한다는 목표다.
통신사업자들은 이를 위해 개별기관 수주전에 모두 참여하며 적극적인 경쟁을 펼친다는 입장이다.
기존 행정전화망 제공사업자인 KT는 수성을 목표로 하고 통합LG텔레콤은 인터넷전화 1위 사업자로서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기업시장 1위 사업자인 삼성SDS 역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SK브로드밴드도 적극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수주전의 경쟁포인트는 요금 및 각 기관별 맞춤형 부가서비스 제공 여부와 추가 설비 지원 등이 될 전망이다.
김병호 행안부 유비쿼터스기획과 사무관은 “요금 수준은 각 서비스사업자별로 5% 이내로 큰 차이가 없다”며 “수요기관은 요금 외에도 지원 조건과 망안정성, 서비스 기술력 등 평가를 거쳐 선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인터넷전화 사업자로 선정되면 보안 및 품질에서 검증을 받은 것으로 인정된다”며 “600만회선 규모에 이르는 기업용 인터넷전화 시장에서도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인터넷전화 사업 외에도 인터넷TV(IPTV) 등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본격적인 기관별 발주 계획이 나오면 수익성을 떠나 사업자 간 수주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 김영리 기자 miracl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