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무역흑자 410억달러 `사상최대'

2010-01-01 12:51
  • 글자크기 설정

 

-수출3638억달러 13.8%↓ㆍ수입 3228억달러 25.8%↓
-`불황형 흑자'서 연말 회복세로 급반전


지난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가 41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수출과 수입이 모두 큰 폭으로 하락,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를 나타냈다.
그러나 지난해 수출은 세계 교역량이 급감한 상황에서 사상 처음 세계 9위에 올랐고 세계 시장점유율도 20년 만에 3%에 진입하는 성과도 거뒀다.

1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은 363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8% 하락했으나 수입도 3228억 달러로 25.8%나 떨어지면서 무역수지는 410억 달러의 흑자를 냈다.

이는 외환 위기로 수입이 급감해 390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였던 1998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 한 해 수출입 동향은 동반침체를 보였지만 지난해 11월 금융 위기 이후 1년 만에 수출이 전년 동기와 비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을 시작으로 12월엔 수출과 수입이 각각 33.7%(362억4000만 달러), 24.0%(329억4000만 달러)가 증가, 33억 달러의 흑자를 보이면서 연말 들어 완연한 회복세로 반전됐다.

지난해 수출은 액정 디바이스(28.5%↑)와 선박(4.4%↑) 등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5.3%↓), 석유화학(14.9%↓), 자동차 부품(16.0%↓)이 중국의 내수 부양책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선방했다고 지경부는 밝혔다.

철강(22.9↓), 기계(28.3%↓), 자동차(27.4%↓), 석유제품(39.2%↓)은 수요부진, 설비투자 감소로 수출실적이 부진했다.

선진국 수출은 21.2%가 급감했지만 개발도상국 수출이 12.5%로 감소폭이 적었다. 대(對) 중국 수출은 7.5% 감소, 다른 지역에 비해 호조세를 보이며 수출비중(23.9%)도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수입은 유가 하락, 내수부진 등으로 많이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이 유가ㆍ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32.9%가 줄었고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도 경기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의 영향을 받아 각각 16.7%, 16.4% 감소했다.

지경부는 그러나 일 평균 수출입액이 1분기를 저점으로 계속 증가세고 수출입 증감률도 11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돼 연말 들어 회복세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대중 무역수지 흑자가 전년보다 163.6%(308억 달러)로 급증세였고 대중동, 대일 무역역조는 큰 폭으로 개선됐다.

올해 수출은 작년 대비 13% 정도 증가한 4100억 달러, 수입은 21% 내외가 늘어난 3900억 달러로 예상돼 무역수지 흑자는 작년의 절반 수준인 200억 달러 정도일 것으로 지경부는 전망했다./연합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