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회의]新 녹색성장 새시대 열자

2009-06-01 20:21
  • 글자크기 설정

이 대통령 회의 직접 주재...한.아세안 미래 동반자 관계로 격상
녹색성장 최대 화두...신재생에너지, 친환경기술 협력
북 핵실험 규탄, 언론발표문 채택 합의도 성과

이명박 대통령은 1일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를 주재하면서 ‘신아시아 외교’에 본격 뛰어들었다. 정부는 이번 특별정상회의가 아시아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떠오른 아세안과 함께 미래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면서 신아시아 외교 구상을 구체화활 수 있는 기회인만큼 녹색 성장 협력 등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각오다.

◆‘녹색성장’ 전도사 된 한국, 신재생에너지 협력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세계화의 영향으로 아시아에서도 역내 협력이 점차 불가결해지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대(對) 아시아 기여 증대, 맞춤형 경제협력, 기후변화 등 범세계적 이슈에 대한 공동대응 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양측의 실질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대(對) 아세안 ODA 규모를 지난해의 2배 수준인 약 4억 달러로 증액한다는 데 합의했다.

또 지난 1998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조성에 합의한 ‘한아세안 협력기금’의 규모를 현행 연간 300만 달러에서 내년부터 500만 달러로 늘리고, 이 중 200만 달러를 문화 및 인적교류에 집중 투입키로 했다.

아울러 오는 2015년까지 아세안 지역 연수생 7천명을 국내에 초청하고 ‘월드 프렌즈 코리아’ 프로그램을 통해 IT 분야를 중심으로 1만명의 해외봉사단을 아세안 지역에 파견키로 했다.

지난해 902억 달러 수준이었던 양측간 교역규모도 오는 2015년까지 1500억 달러로 늘리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아세안내 개발격차를 해소하고 한국의 미래산업 분야도 확보하는 ‘윈윈 전략’으로 접근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회의 기간 내내 녹색성장은 핵심화두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특별정상회의 사전행사로 열린 한아세안 CEO 서밋(최고경영자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한아세안간 3대 협력 방안으로 무역·투자, 문화·관광과 함께 녹색성장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향후 회의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 개발, 공동조림, 친환경기술 등 아세안과의 녹색성장 관련 협력을 최대한 끌어낼 방침이다.

◆북 핵실험 규탄 공동결의...외교지평 확대

북한의 2차 핵실험으로 촉발된 한반도 안보위기와 관련, 한아세안 정상들이 북 핵 문제에 대한 별도의 언론발표문을 채택키로 한 것도 1일 회의의 성과중 하나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제주 국제콘벤션센터(ICC)에서 브리핑을 갖고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정상은 2일 한아세안 공동성명과는 별도로 북핵 문제에 대한 별도의 언론 발표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발표문에는 북한의 핵실험 규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대응 조치를 요청하는 한편, 북한의 핵 포기와 조속한 6자회담 복귀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다.

이 대통령은 이와 관련, “최근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비확산체제에 역행하는 것으로서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행위”라며 “우리는 북한이 유엔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6자회담에 즉시 복귀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