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KT, 화합과 리더십으로 글로벌 경영에 나서야

2009-06-01 11:28
  • 글자크기 설정

김병호 산업에디터 겸 IT·미디어부장

   
 
김병호 산업에디터 겸 IT·미디어 부장
1일은 통합 KT가 글로벌 통신사업자로 우뚝 서는 발판을 마련하는 날이다. 오늘이 바로 KT와 KTF가 합병해 KT로 새롭게 출발하는 날이다. 지금까지 KT와 KTF가 두 집 살림으로 국내 시장을 두고 작은 경쟁을 벌였다면 이제부터는 큰 시장을 두고 큰 경쟁을 벌여야 한다.

KT의 규모는 놀랍다. 자산 24조원에 매출 19조원, 영업이익 1조6000억원의 대그룹이다. 대한민국 10대 그룹에도 들어갔다. 국내 통신 라이벌인 SK텔레콤에 비해 자산이 44.4%, 매출액은 63%가 더 많다. 이동전화의 경우 SK텔레콤이 50.5%를 약간 더 갖고 있지만 이 황금률은 언제 깨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기자는 KT의 미래에 큰 기대를 가지면서도 한편으론 애정 어린 충언을 하려고 한다. 기자가 KT에 대해 기대와 충언을 동시에 보내는 것은 20년 가까이 KT를 옆에서 지켜봤기 때문이다.

먼저 이석채 회장은 멋진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KT는 물론 KT를 지켜보는 사람들도 이 회장의 리더십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 회장이 재무 관료로 출발해 정보통신부(현 방송통신위원회) 장관을 역임했기 때문에 기대가 더 크다. KT를 이끌어 가는데 가장 중요한 회계ㆍ통신업무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것은 이 회장의 강점이기도 하다. 그런 강점은 통합 KT에서도 발휘돼야 한다.

이를 위해 이 회장을 보좌하는 사장이나 임원들도 지금까지의 생각과 행동을 다 벗어 던져야 한다. 전혀 새로운 생각과 행동으로 KT의 진정한 일꾼이 돼야 한다. 민영화가 됐음에도 공사시절을 생각하고 있거나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거대 KT의 임원이 될 자격이 없다.

그 다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화합의 경영이다. KT와 KTF가 합치다 보니 조직을 바꾸고, 사람을 바꾸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당연히 KT와 KTF 식구 간에 불협화음이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합리적인 인사와 화합이다. 지연이나 학연 등에 얽매여 불합리한 인사가 있어서는 안 된다. 통합 KT의 성공여부는 인사와 화합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윗 사람과 아랫사람 간의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보살펴주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책임을 지는 풍토가 이번 기회에 정착돼야 한다. 간부들이 윗사람의 비위만 맞추려고 정신을 쏟는다면 직원들 간의 화합이나 '소통’은 기대하기 어렵다. 이 회장은 이 문제에 각별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아부하는 간부가 있으면 부하에게 먼저 잘 하라고 한 마디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 통합 KT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덩치에 맞는 비전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KT는 막대한 통신 네트워크와 고급인력, 풍부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어 어떤 비전을 제시해도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토대를 가지고 있다. 이 회장은 우선 잔뜩 기대를 걸고 있는 직원들에게 통합 KT의 비전을 제시하고, 고객인 국민들에게 비전을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KT는 좁은 국내 시장에서 다른 통신사업자와 머리 터지는 싸움을 벌일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 대신 넓은 세상, 글로벌 시장을 향해 눈을 돌려야 한다. 국내에서 작은 파이를 두고 싸우는 것은 KT의 위상에도 맞지 않는다. 국내에서 통신 강자가 되려 하지 말고, 세계적인 통신 강자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KT의 시설이나 인력, 자금력으로 볼 때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이런 좋은 여건을 살리지 못한다면 경영진은 경영능력을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KT는 매출 19조원의 회사다. 앞으로 30조, 50조, 100조원을 향해 나가려면 국내 시장은 너무 좁다. 국내 시장은 인구가 적어 아무리 노력을 해도 50조, 100조원으로 늘어나지는 못한다.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LG그룹 SK그룹처럼 100조원을 넘는 큰 회사가 되려면 글로벌 시장에서 뛰어야 한다. 이것이 KT가 한국의 KT를 넘어 아시아의 KT, 더 나아가 세계의 KT가 되는 길이다.
 
KT로서는 ‘지금 이 정도면 서비스도 괜찮고, 덩치도 괜찮고, 경쟁력도 괜찮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T가 KTF와 나뉘어 살 때는 이런 말이 통했다. 그러나 이젠 상황이 바뀌었다. 옛날 KT가 아니다. 국내 시장에서 아옹다옹하는 KT가 아니다. 이 회장의 리더십을 기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