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장관들, 보호무역 저지 노력키로
아시아 주요국들이 글로벌 금융위기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아시아 공동펀드를 기존 800억 달러에서 1200억 달러로 확대 조성한다.
또 일부 국가들이 자국내 산업의 도산을 막기 위해 보호무역주의 경향을 보이려는 움직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아세안+3(한국·중국·일본) 재무장관들은 22일 태국 푸껫 라구나호텔에서 열리는 특별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논의하고 오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는 5월 발리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와 맞춰 열리게 돼 있었으나,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이날 긴급히 소집됐다.
회의 안건의 핵심은 아세안과 한·중·일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힘을 모으자는 것으로, 이를 위해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다자화기금 규모를 기존 800억 달러에서 1200억 달러로 늘리는 방안을 협의한다.
CMI는 아시아 경제위기를 계기로 2000년부터 논의가 본격화된 역내 상호 자금지원체계다. 지금까지는 한 국가가 자금 지원을 요청할 경우 각각의 회원국에 묻는 복잡한 방식이었으나 앞으로는 당사국의 요청에 따라 참여국들이 1주내 에 합의해 자금지원을 결정하는 다자간 방식으로 바뀐다.
아세안+3 재무장관들은 이번 회의 결과에 따라 CMI 기금의 출연 배분 문제 등 세부적인 사항은 오는 5월 발리 회담에서 마무리할 예정이다.
CMI기금 창설 당시 한·중·일과 아세안은 분담 비율을 80대20으로 정했는데 이 원칙은 이번 기금 확충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일본과 중국은 주도권을 잡기 위해 CMI기금을 더 내려고 이견을 보어 한·중·일 3국간 분담률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는 CIM기금이 향후 국제통화기금(IMF)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아시아통화기금(AMF)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셰쉬런 중국 재정부장과 만나 양국간 금융 협력을 논의하고, 한국이 G20(주요 20개국) 순회의장국 자격으로 G20에서 개발도상국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한국 뿐 아니라 모든 회원국들은 보호무역주의 부활은 세계 경제를 더욱 수렁으로 빠지게 할 뿐이라는데 뜻을 같이하고 이를 막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