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1500선을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이 계속되자 외환당국이 2000억 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액을 헐어서라도 시장개입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은행 고위관계자는 22일 "시장 개입 여부는 그 필요성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라면서 "외환보유액이 2000억 달러 아래로 내려올지 여부는 개입에 있어서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은의 다른 관계자도 "외환보유액 2000억 달러 선에 큰 의미를 두지는 않는다"면서 "시장 상황에 따라 2000억 달러 아래로 내려올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입장은 물론 기획재정부와도 조율된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심리적인 면 때문에 외환보유액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일부 있지만 외환보유액은 전액 사용가능한 것으로 비상시라고 판단되면 언제든지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에 2000억 달러는 지켜질 것이라고 정부 고위 인사가 얘기하면서 마치 이것이 넘어서는 안되는 선처럼 인식되는 모양인데 그렇지않다. 2000억 달러 선에 의미부여를 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외환당국의 이런 입장은 외환보유액 2000억 달러를 유지하기 위해 환율의 비정상적인 상승을 방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그동안 외환당국은 외환보유액이 2000억 달러 아래로 내려오면 미래 위험에 대한 대응 능력이 상실된다는 지적을 의식, 보유액을 통한 시장개입을 신중히 해왔다.
`2000억 달러 마지노선'은 단기외채와 잔존만기 1년미만의 유동외채가 2000억 달러나 되는 만큼 유동외채가 한꺼번에 빠져나갈 경우에 대비해 이 정도의 외환은 갖고 있어야 한다는 논리에 따라 형성됐다.
한은은 필요하면 원-엔화 통화 스와프 자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은 관계자는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협정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으나 원-엔화 스와프자금은 시장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며 "그러나 한미 스와프 자금처럼 당장 인출해 쓰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작년 12월에 중국과 260억 달러 상당의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일본과 200억 달러 상당의 원-엔화 통화스와프를 각각 체결했으며 이는 시장 안정에 어느 정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외환시장 불안이 가중됨에 따라 국내은행들의 외화차입 현황을 정밀 점검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동유럽 국가들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불거지는 등 글로벌 신용경색이 심화되고 있다"며 "국내 은행의 외화차입 현황을 재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올해 만기도래하는 은행권 외화차입(이하 해외점포 제외) 350억 달러 중 100억 달러가 다음 달에 몰렸다. 또 은행권 총 외화차입 850억 달러 중 25%가 서유럽 금융회사에서 조달한 자금이며 올해 상반기에 만기도래하는 규모는 100억 달러 수준이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