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러일 전쟁의 報恩

2008-11-16 15:08
  • 글자크기 설정
 미국발(發) 금융위기이후 서방 언론들은 세계경제의 패권이 미국에서 아시아로 넘어간다는 예측을 심심챦게 내놓고 있다.


항상 돌고 도는 역사의 법칙에 비추어 보면 현실성이 떨어지는 진단은 아닌성 싶다. 15세기 인도에선 ‘영국인 같다’고 하면 가축처럼 움막에서 사는 미개인을 의미했다. 하지만 19세기 영국에서 ‘인도인 같다’는 얘기는 하인이나 불결한 사람을 뜻했다. 18세기부터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인해 양국의 위상이 정반대로 바뀐 것이다.

사실 182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의 GDP(국내총생산)를 추정해 보면 아시아가 경제패권을 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인도의 비중이 45%에 달했다는 것이다. 인구 역시 세계의 55%정도를 차지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재무 관료였던 사카키바라 에이스케씨는 “19세기 초반만해도 중국과 인도가 세계경제의 중심”이라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세계경제가 금본위(金本位)경제로 돌아선 1870년이후 영국이 세계경제의 주도권을 잡기 시작했는데, 그 이전에는 아시아가 패권을 쥐고 있었다는 분석이다.


영국의 파운드화(貨)가 상당기간 득세한 다음 미국의 달러화가 안방 주인 노릇을 하기 시작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이 그 시점이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08년 세계는 지금 ‘팍스 아메리카’의 신화가 송두리째 흔들리는 세기(世紀)의 대격변을 목도하고 있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일본 노무라홀딩스가 미국 리먼브러더스의 아시아법인을 인수한 것을 색다르게 해석했다.‘100년전 러-일전쟁을 앞둔 일본 정부는 군자금 부족으로 낙담을 하고 있었다.그때 영국의 한 증권사가 전비(戰費)를 국채발행 방식으로 지원해 주었다.이 돈을 바탕으로 일본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훗날 이 증권사는 리먼브러더스로 합병됐다.

노무라가 리먼을 인수한 것은 일본이 실로 100년만에 러-일전쟁의 군자금을 빌려준 리먼브러더스에게 보은(報恩)한 것이다.’ 파산한 리먼을 되살려낸 노무라를 역사적 영웅으로 미화한 해석이다.


영원한 강자도 영원한 약자도 없다는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게 하는 대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