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무역수지가 12억 달러 흑자를 내면서 5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미국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 실물경제의 침체로 수출 증가율이 두자릿수에 턱걸이했지만 유가 하락으로 수입 증가율도 크게 낮아지면서 올해 들어 두 번째 월간 흑자를 달성했다.
이로써 올해 1~10월 무역수지 누적적자는 134억5천만 달러로 줄었으나 지경부가 지난달 수정한 전망치인 연간 60억 달러 적자는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0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0% 증가에 그쳐 올해 1~9월의 증가율 22.7%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수입 역시 12.0% 증가해 1~9월의 증가율 34.2%보다 큰 폭으로 둔화됐다.
주력 품목별 수출을 보면 자동차(-14%)가 미국과 유럽 등 선진시장의 경기 침체로 두자릿수의 감소세를 보였고 반도체(-26%)와 가전(-28%), 컴퓨터(-37%) 등도 크리스마스 특수가 실종되면서 급감했다.
섬유류(6%)와 자동차부품(6%), 일반기계(4%) 등도 실물경제의 침체에 따라 수출 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내려 앉았다.
다만 선박(118%)은 안정된 수주물량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수출 1위 품목으로 올라섰고 석유제품(45%)과 철강(40%), 무선통신기기(14%) 등도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지난달 1~20일 지역별 수출을 보면 대(對) 중남미(32.1%)와 중동(22.4%), 대양주(20.9%), 미국(10.8%) 등은 두자릿수의 호조를 보였지만 아세안(6.3%), 일본(5.5%)은 한자릿수 증가세에 그치고 중국(-1.8%)과 유럽연합(-8.2%)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입은 원유와 원자재의 가격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가 뚜렷했다. 원자재 수입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2.2% 급증했지만 9월에 비해서는 원유(-13%), 석유제품(-44%), 철강제품(-20%) 등의 수입액이 크게 줄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설비투자 부진과 소비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입증가율이 모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자본재 수입증가율은 -3.2%로 지난해 10월의 26.0%보다 크게 줄었고 소비재 수입증가율 역시 -12.8%로 작년 동월의 36.8%보다 대폭 감소했다.
원유 도입단가는 배럴당 98달러로 9월의 115달러보다 크게 낮아졌지만 현물 시황을 2개월 정도 늦게 반영하는 장기계약 조건에 따라 10월 두바이유 평균가격인 67달러보다는 배럴당 30달러 이상 높았다.
지경부 정재훈 무역정책관은 "수출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유가와 원자재가 하락이 지속되고 있어 연말까지 무역수지 흑자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