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국내소비 대비 국내생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제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량안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어 수입선 다변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곤 연구위원은 6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를 기초로 OECD 회원국들의 곡물자급률(2003년 기준)을 계산해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25.3%로 29개국(룩셈부르크 제외) 중 26위라고 밝혔다.
29위인 아이슬란드가 북극권의 섬나라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각각 27~28위를 기록한 일본(22.4%) 네덜란드(21.2%)와 함께 곡물자급률 최하위 3대 국가 가운데 하나인 셈이다.
반면 프랑스(329%) 체코(198.6%) 헝가리(153.7%) 독일(147.8%) 슬로바키아(140.6%) 등은 100%를 크게 웃돌며 1~5위를 차지했고 미국은 125.0%로 9위에 올랐다.
김 위원은 "자급률 수준은 식량 안보의 중요한 지표"로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3개국이 최근 남미와 북미 국가들을 상대로 곡물 수입 쟁탈전을 벌이는 구도가 굳어지는 등 식량안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불안한 식량 수급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급률 목표 설정 등 국내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최근 심화하고 있는 수출국의 수출 규제에 맞서 품목별로 3∼4개국 정도로 수입선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또 "주요 곡물에 대해서는 품목별로 소비량의 일정 비율을 정해 비축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러시아는 보리·밀에 수출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중국은 곡물·제분 등에 수출세나 할당량을 두고 있다.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