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산업별 전문가들과 신통상 환경 짚는다

2024-06-12 11:00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서 '2024 글로벌 신통상 포럼' 개최
국내외 씽크탱크·정부·기업인 참석···통상질서 재편 속 대응 전략 제시

서울 염창동 코트라 전경 [사진=코트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는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우리 기업인 300여명을 대상으로 '2024 글로벌 신통상 포럼'을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올해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해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중요한 선거를 치르는 '슈퍼 선거의 해'이자, 주요 통상 규제들이 이행되기 시작하는 해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글로벌 통상질서의 재편'과 '통상이슈별 분석 및 전망'을 주제로 포럼을 진행하고 한국생산성본부, 한국능률협회, 에코나인 등 ESG 전문기관들과 협업 부스를 운영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공급망실사지침(CSDDD) 등 통상 현안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 연구소 부소장이자 전 USTR 부대표는 기조연설서 다자무역체제의 한계로 인해 나타나는 통상 흐름을 분석했다. 특히 신흥국 간의 교역 확대, 신시장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직접투자, 중산층의 성장 등에 주목해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서 마리아 페르난데즈 카스티요 EU 주한대사는 EU의 통상정책 기조와 EU 기업들의 대응 사례를 공유하며, 한·EU 간 민간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심진수 산업부 신통상전략지원관은 우리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정부의 신통상 지원정책과 대안적 통상협력 이니셔티브인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소개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우리 기업의 다각화 전략으로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제안했으며, 이지형 코트라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새로운 통상질서 속에서 우리기업의 비즈니스 협력 사례들을 공유했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는 두 번째 세션에서 주요국들이 반도체, 배터리, 디지털 시장 등 핵심 산업 관련 공급망을 자국에 유치하고자 도입 중인 정책들을 분석했다. 특히 이 교수는 EU의 역내 자립도 강화 기조와 미국의 수출통제 조치 다자화 노력 등이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이천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통상전략팀장은 노동환경 이슈와 결부된 통상 규제들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최근 주요 교역국을 중심으로 최종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규제 유형에서 더 나아가, 공급망 전반을 규제 대상으로 하는 무역조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국반도체산업협회, LG에너지솔루션, 법무법인 세종 AI정책센터 등에서 반도체, 배터리, AI 업계의 목소리를 각각 대변하는 전문가들이 합류했다. 통상 이슈를 짚어보고, 관련 업계의 시각에서 보는 전망과 기업 사례를 공유했다.

현장에는 테마별 일대일 무료 상담부스가 마련된다. 한국생산성본부 ESG 컨설팅센터,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에코나인 등 전문 컨설팅 기관에서 ESG 관련 상담을 진행한다. 또한 코트라의 글로벌 공급망 센터, FTA 활용지원센터, 수출 애로 119 등이 참여해 사전 신청한 기업들에게 컨설팅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