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자면 뇌졸증'…의정부을지대병원 의료진의 수면장애 극복 방법

2024-05-31 13:45
'기저질환 여부 파악 중요… 정확한 진단·치료 받아야'

수면장애[사진=의정부을지대병원]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다."…"잠을 설쳤더니 피곤하다."

잠이 보약이지만 스트레스와 음주, 흡연, 카페인, TV 시청 등으로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현대인이 늘어나고 있다.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매년 늘어 지난 2020년 진료 인원이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지난 2022년 109만8819명으로, 2018년 85만5025명보다 30% 늘었다.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다 보니 지난 18일 여의도 한강공원에서는 '잠 퍼자기 대회란 이색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수면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와 주요 장기의 기능 유지, 스트레스 해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아무 이유 없이 잠을 못 이루는 수면장애가 지속된다면 신진대사 균형이 깨지면서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장기문 교수의 도움말로 수면장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본다.
 
수면장애 종류 다양, 기저질환 여부 파악 중요
수면장애는 흔히 알고 있는 불면증이 대표적이다.

특별한 원인 없이 잠을 못 이루는 경우를 '일차성 불면증'이란 한다.

'이차성 불면증'은 기저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면증으로, 다른 수면장애 또는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치매, 파킨슨병 등 질환이 동반된 경우를 말한다.

불면증 외 다른 수면장애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등이 있다.

잠을 잘 때 기도가 좁아져 공기가 기도를 통과하는 데 방해가 될 때 코골이가 생기며, 기도가 심하게 좁아지거나 막히면 수면 무호흡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하지불안증은 자려고 할 때 벌레가 다리를 기어다니는 듯한 이상한 느낌의 증상으로, 주로 밤에 심해지며 움직이면 호전되는 증상이 특징이다.

주기성 사지운동증은 자는 동안 하지를 툭툭 차는 증상이 나도 모르게 생기는 증상을 말하며 하지불안증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다양한 설문, 수면다원검사로 진단
수면장애 진단은 대부분 병력 청취로 구분하고, 동반 질환 여부 및 수면장애의 심각도를 파악할 때 다양한 종류의 설문을 진행한다.

장 교수는 "외래 진료 과정에서 많은 설문 양에 놀라는 경우가 많지만, 처음 진단을 정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고 나중에 질환의 호전 정도를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다"고 말했다.

수면장애 진단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여러 측정 장치를 달고 잠을 청하는 수면다원검사가 있다.

이 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진단이 가능하고, 단순 불면증만 있을 때는 시행하지 않는다.
 
수면무호흡증이라면 약물치료가 증상 악화시켜
장 교수는 치료 방법에 대해 "수면장애 상태에 따라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동반 질환 등 정확한 진단 없이 수면제를 남용하게 되면 약물 의존성이 증가하게 된다"며 "가령 수면무호흡증이 불면의 원인이면 (약물로)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때는 양압기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또 "불면증과 기타 수면장애를 방치하면 혈압이 상승해 고혈압, 심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과 우울증과 불안장애 등의 정신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며 "수면장애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면 수면의학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 보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수면장애 극복을 위한 일상 속 생활수칙
1. 잠자기 전에는 야식을 삼간다.

자는 동안에는 위장도 쉬어야 한다. 자기 전 음식을 섭취하면 위장에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자율신경계와 심장 또한 쉬지 않게 만들어 편하게 수면을 취할 수 없다. 특히, 자극적인 음식은 더욱 심한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2. 카페인과 니코틴은 금물

카페인과 니코틴은 뇌를 자극해 각성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카페인에 예민하다고 판단이 되면 점심 이후엔 피해야 한다. 니코틴은 새벽에 잠을 깨우기도 하고, 호흡기 계통에 자극이 되기 때문에 편안한 잠에 방해가 된다.
 
3. 휴일에도 평일 수면 루틴 지키기

여유 있는 휴일이라도 평소와 같은 루틴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휴일이라고 아침 늦게까지 자고 아침 겸 점심을 즐긴다면 일요일 밤에 잠이 오지 않아 고생하고, 뒤바뀐 수면 패턴으로 한 주 내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4. 가능한 햇볕을 많이 쬔다.

뇌 속 생체 시계는 태양 빛에 따라 작동한다. 낮 시간 밝은 태양 아래 운동을 하게 되면 생체 시계에 필요한 자극을 줄 뿐 아니라 육체적 운동을 통해 긴장을 풀고 야간에 수면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낮잠은 20분 이내로 짧게 잔다.

낮잠은 결국 밤잠을 빼앗아 간다. 몸이 피곤하다면 20분 이내로 짧은 시간의 낮잠을 즐기는 것이 좋다. 긴 낮잠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고, 수면의 깊은 단계까지 들어가게 되면 깨기가 어려워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고 육체적으로도 피곤을 느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