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불황 장기화에…은행권 무수익여신 급증
2024-04-17 14:51
은행권도 PF 후폭풍 영향권…4월 이후 분위기에 금융권 '촉각'
건설·부동산업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국내 주요 은행에서도 돌려받기 어렵다고 본 대출 규모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비은행 부문의 부실채권 규모가 18조원에서 31조2000억원으로 급증 했는데, 은행권도 부실화를 피할 수 없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무수익여신 합계가 3조52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말(2조7900억원)과 비교했을 때 26.2% 증가한 규모다.
무수익여신은 이미 연체가 발생한 대출에 더해 은행이 자체적으로 돌려받기 어렵다고 판단한 대출 규모를 합친 것이다. 각 은행은 경영공시를 통해 이와 같은 무수익여신 증가가 건설·부동산 업계 불황이 길어진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업계에서 부도나 채무불이행 규모가 늘면서 무수익여신도 함께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추세는 비단 은행권만의 문제는 아니다. 상호금융·저축은행 업권을 비롯한 제2금융권에서도 지난 한 해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한 대출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가 급증했다.
지난달 28일 한국은행 금융안전국이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2022년 말 18조원이던 비은행 부문 NPL 규모는 작년 말 31조2000억원으로 73.4% 급증했다. 업권별 NPL 규모는 △상호금융 17조3000억원 △저축은행 8조원 △카드·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 5조9000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당분간 부동산 시장 불황이 계속되고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는 건설업계가 최근 △재무 건전성 저하 △취약기업 비중 상승 △우발부채 증가 등을 겪고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게다가 올해 초부터 4·10 총선 이후 금융시장에 충격이 올 것이란 내용의 ‘4월 위기설’이 돌았던 만큼 총선 이후 금융권은 다소 긴장된 분위기다. 설상가상으로 이스라엘과 이란이 충돌하면서 중동발 지정학적 위험이 증대된 점도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4월 위기설의 중심에 있던 총선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이후 환율이 급등하면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물가가 다시 오르고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충격이 있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무수익여신 합계가 3조52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말(2조7900억원)과 비교했을 때 26.2% 증가한 규모다.
무수익여신은 이미 연체가 발생한 대출에 더해 은행이 자체적으로 돌려받기 어렵다고 판단한 대출 규모를 합친 것이다. 각 은행은 경영공시를 통해 이와 같은 무수익여신 증가가 건설·부동산 업계 불황이 길어진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업계에서 부도나 채무불이행 규모가 늘면서 무수익여신도 함께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추세는 비단 은행권만의 문제는 아니다. 상호금융·저축은행 업권을 비롯한 제2금융권에서도 지난 한 해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한 대출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가 급증했다.
지난달 28일 한국은행 금융안전국이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2022년 말 18조원이던 비은행 부문 NPL 규모는 작년 말 31조2000억원으로 73.4% 급증했다. 업권별 NPL 규모는 △상호금융 17조3000억원 △저축은행 8조원 △카드·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 5조9000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당분간 부동산 시장 불황이 계속되고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는 건설업계가 최근 △재무 건전성 저하 △취약기업 비중 상승 △우발부채 증가 등을 겪고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게다가 올해 초부터 4·10 총선 이후 금융시장에 충격이 올 것이란 내용의 ‘4월 위기설’이 돌았던 만큼 총선 이후 금융권은 다소 긴장된 분위기다. 설상가상으로 이스라엘과 이란이 충돌하면서 중동발 지정학적 위험이 증대된 점도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4월 위기설의 중심에 있던 총선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이후 환율이 급등하면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물가가 다시 오르고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충격이 있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