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연체율' 2016년 이후 최고치…하반기 관리 여부는 미지수
2023-05-25 14:01
저축은행·상호금융업 등 제2금융권 연체율이 2016년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추세에 대해 “아직까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판단을 내놨다. 하지만 시장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연체율 수치가 더욱 높아질 게 명확하기 때문이다. 최고점이 어느 수준에서 형성될지 쉽게 가늠하기도 힘들다. 금융당국은 일단 취약 업체에 대한 밀착 관리, 지속적인 대손충당금 적립 유도 등을 통해 1차 방어벽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여의도 본원에서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은행과 중소·서민 부문 담당 국장 외에도 은행, 서민금융협회, 민간 전문가 등 총 20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가 마련된 배경은 최근 본격 상승세로 돌아선 ‘제2금융권 연체율’이다. 3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5.07%,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은 2.42%를 각각 기록했다. 2016년과 2014년 이후 최고치다. 특히 저축은행 연체 동향이 심상치 않다. 가계대출(5.59%)과 기업대출(5.07%) 모두 전 업권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저신용자 대출 취급량이 많은 업계 특성을 고려해도 위험한 수준이다.
다만 하반기에도 연체율 관리가 원활할지는 미지수다. 금융당국 역시 당분간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즉, 연체율이 위험 수준까지 뛸 수도 있다는 뜻이다. 기업·가계 대출 모두 상황이 좋지 않다. 기업대출은 부동산 시장이 안정되기 전까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관련 여신에 대한 연체 압력은 이어질 수밖에 없다. 가계대출은 9월 말 코로나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그에 비례해 연체 부담이 커진다.
제2금융권 건전성 붕괴는 결국 제1금융권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3월 말 국내 은행 연체율은 0.3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으나 하반기 상황은 좋지 못하다.
회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대출 부실 가능성에 대비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최근에는 자체적인 연체채권 매각·상각, 여신 사후관리 강화 등을 통한 건전성 관리에 나선 상황이다. 손실흡수능력 역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와 자기자본 확충 등을 통해 꾸준히 키워가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건전성 취약 금융사에 대해 관리계획 징구‧경영진 면담 추진 등 선별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악화 우려 금융사와는 확약서‧업무협약(MOU) 체결 등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향후 가계대출 동향에 대해선 당분간 급증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대출금리가 과거 대출 급증기에 비해 여전히 높고 주택 거래 역시 예년보다 적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