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는 땅 없앤다"…저이용 시유지에 공공시설 공급 기반 마련

2022-04-14 11:15
공공토지 활용 기본계획 최초 수립…한정된 공공토지 최적 활용방안 도출

서울시청 전경 [사진=아주경제DB]



서울시가 저이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시유지 684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통해 건강센터, 어르신 돌봄시설, 반려동물시설 같은 다양한 공공시설을 적기에, 적재적소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서울시는 공공토지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공공토지 활용 기본계획을 최초로 수립하고 시행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고령화, 1인가구 증가 같은 사회변화에 따라 새로운 공공시설에 대한 수요는 커지는 반면, 가용 가능한 토지는 부족한 상황이다. 시는 한정된 시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했다. 

공공토지 활용 기본계획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시유지별로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좋은지 활용모델을 제시하는 ‘활용 가이드라인’과 활용 가능한 시유지가 어디에, 어느 정도 규모로 있는지 손쉽게 찾을 수 있는 ‘활용 시스템’ 구축이다.

활용 가이드라인은 공공토지를 활용해 사업을 하려는 사업부서 실무자들이 계획을 수립할 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사업 단계(준비→활용→사업방식→미래활용)에 따라 총 14개의 활용모델을 도출하고, 각 모델별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각 사업부서에서는 활용모델과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토지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아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세부 활용모델은 실제 대상지를 사례로 이미지 형태로 보여주면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예컨대, 재건축 시기가 도래하고 있는 서초구민체육센터(1994년 준공) 부지의 경우 약 3만㎡의 대형 부지로, 인근이 주거밀집지역이어서 공공수요도 높은 상황이다. 이 지역은 다양한 수요의 공공시설물을 입체적으로 배치하는 전략적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활용 시스템은 활용 가능한 시유지가 어디에 어느정도 있는지 정확한 재산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이다. 기존 시 내부행정 시스템인 ‘시유재산종합정보시스템’에 공공토지자원 데이터를 통합해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볼 수 있다.

2014년부터 구축해온 공공토지자원 데이터인 ‘활용가능시유지’, 10년 내 활용 가능한 ‘중점활용시유지’, 국공유지가 연접해 있는 ‘혼재지’, ‘시외지역 시유지’를 모두 탑재해 통합적 검토가 가능하다.

분리된 필지를 획지로 자동으로 묶어주는 기능도 탑재돼 있어 획지의 생성과 삭제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사업하기에 적합한 획지단위 규모로 부지 검색이 가능하다. 다양한 조건별로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 실무자가 원하는 토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서울시 공공개발기획단은 이번에 마련한 기본계획을 토대로 ‘공공토지 활용 컨설팅’을 실시한다. 사업부서 실무자들이 필요한 용도의 땅을 보다 신속하게 찾는 것부터 건축계획, 사업추진방식, 유지관리단계까지 사업 전반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컨설팅해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컨설팅 전담기구 설치도 검토 중이다.

시 소유 공공토지, 즉 ‘시유지’는 총 106㎢(5만8000여 필지)로 여의도 면적의 약 36.5배 규모다. 현재 서울시 전체 면적(605㎢)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7.5%는 공공영역의 토지(국·구·시유지)이며, 시유지는 공공토지의 37%를 차지한다.

시유지 중 도로·공원·하천 등 필수기반시설(57.8%), 전·답·임야같이 활용도가 떨어지는 땅(22.7%), 이미 활용 중이거나 자투리땅(19.5%) 등을 제외하면 실제 활용 가능한 시유지는 684만㎡(5.6%) 규모다.

홍선기 서울시 공공개발기획단장은 “공공토지 활용 기본계획과 컨설팅 제도 시행으로 한정된 공공토지의 가치를 높이고 최적의 활용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는 공공시설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해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