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품·요금제 출혈경쟁 말고 서비스로"…자정 나선 알뜰폰 업계

2022-01-11 18:40

서대문구 알뜰폰 스퀘어 [사진=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올해 알뜰폰 업계가 시장 과열로 인한 출혈 마케팅 대신 서비스로 경쟁하기 위한 체질 전환에 나선다. 1000만명 고지를 달성한 알뜰폰 시장이 보다 성숙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 알뜰폰 자회사와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은 지난 7일 알뜰폰 시장 모니터링을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진행한 킥오프 회의에 참석해 자본력을 앞세운 과도한 마케팅 경쟁을 지양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알뜰폰 업계는 지난해 11월 도입 11년 만에 가입자 1000만명 고지를 달성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년 새 이동통신 3사 자회사를 중심으로 젊은 층에서 알뜰폰이 소위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로 인기를 얻으며 시장이 팽창하고 있다. 

최근 알뜰폰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지나친 경쟁이 벌어지면서 문제가 됐다. 24개월 약정이 있는 이동통신(MNO)과 달리 알뜰폰은 약정 기간이 없어서 번호 이동이 쉽기 때문에 소비자가 각종 혜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서비스 경쟁이 아닌, 자본력을 앞세운 마케팅 경쟁으로 번지기가 쉽다. 특히 이통3사 자회사에서 자본력을 앞세워 마케팅에 나서면 중소 사업자는 속수무책이라는 지적이 수차례 나왔다. 

대표적 문제점 중 하나는 고가 경품 살포다. 지난해 초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3만원 이상 사은품 지급을 지양하라고 구두 경고를 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에도 시장에서 단말기 등 고가 사은품과 현금 등이 수시로 등장했다. 

지나친 저가 요금제 경쟁 과열도 있다. 이통3사 자회사에 비해 자본력과 마케팅 역량이 부족한 중소 알뜰폰 업체는 적자를 감안하고 망 도매대가 이하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가입자를 끌어오기에 안간힘을 쓴다. 고객 뺏기 경쟁이 극에 달하면서 단통법 규제의 회색지대를 노려 타사 가입자 유치 시 불법 보조금을 지급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알뜰폰에도 경품고시 등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방통위는 강제성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규율하기에 앞서 사업자들 간 논의를 통해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시장 과열을 개선하는 방안을 택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그동안 알뜰폰에 대해 규제를 하지 않았다. 알뜰폰 영업이 굉장히 다원화돼있는데 전체적으로 판매방식을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며 "그다음에 규제 등을 검토해야 하는데, 이번에 첫 단계를 보는 것이다. 사업자들이 자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방통위 입장에서는 좋다. 정부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뜰폰 업계는 향후 월 1회는 정기적으로 모여 논의하면서 시장 모니터링을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말기, 요금제, 유심 등 어디까지 모니터링을 할건지를 놓고 논의 중"이라며 "방통위에서 참여하지 않지만, (모니터링 결과를) 방통위에 공유하기 때문에 완전히 사업자의 자율에만 맡기지는 않는다. 정기적으로 매달 1회는 모이면서 모니터링 방법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