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 소유자 5명 중 1명 종부세 대상…5년새 3배↑

2021-12-05 15:14
2016년 6.2%에서 올해 18.6%로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주택가 모습. [사진=아주경제 DB]

 

서울 주택 소유자 약 5명 중 1명이 올해 종합부동산세를 낸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서울시 주택분 종부세 납부 대상자(고지 인원 기준) 중 법인을 제외한 개인 납부자는 47만745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법인을 포함한 올해 전체 고지 인원에 2017∼2019년 서울시 개인 종부세 납부자 평균 비중을 적용해 추계한 수치다.
 
통계청 주택소유통계를 바탕으로 유 의원이 추산한 올해 서울시 주택 소유자는 253만7466명이다. 2017∼2020년 주택 수 평균 증가율과 주택 수 대비 주택 소유자 수 비중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 보면 서울의 주택 소유자 중 종부세를 납부하는 사람의 비중은 18.6%다. 올해 서울에 주택을 보유한 사람 가운데 약 5명 중 1명은 종부세를 내게 된 것이다.
 
서울의 주택 소유자 대비 종부세 납부자 비율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6.2%였으나 2017년 7.5%, 2018년 8.7%, 2019년 11.5%로 매년 올랐다. 종부세를 내는 사람의 비중이 5년 새 3배가량 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해에는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며 서울 주택 보유자 대비 종부세 납부자 비율이 15.2%로 1년 만에 3.7%포인트 상승했다. 올해도 3.4%포인트 늘었다.
 
전국 기준으로 보면 올해 추산된 주택 소유자(1502만5,805명) 중 개인 종부세 납부자는 88만5000명으로, 종부세 납부자 비율은 5.9%로 집계됐다. 2016년(2.0%)의 3배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