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7월 신규대출 ‘반토막’… 불붙은 금리 인하론 논쟁

2021-08-12 15:35
코로나19 확산세 심화…금리 인하 목소리 커져
中 관변 경제학자 "통화 부양이 부채 위협 초래 안한다"
美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 영향…금리 인하 반대 목소리도
17일 MLF 연장이 향후 통화정책 가늠해 볼 참고지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경제 회복세에 물음표가 붙으며 금리 인하 등 통화 부양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일부 관변 경제학자들은 조속한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반면, 글로벌 전문가들은 아직 금리 인하는 이르다는 평가다.
"대출 증가 규제 강화로 억제... 추가 금리 인하 필요"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중국 일부 관변 경제학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중국 경제 회복의 위협이 커진 것을 우려해 금리 추가 인하 범위를 고려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이 규제 강화로 부채 증가의 위험을 충분히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통화정책 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쉬훙차이 중국 정책과학연구회 경제정책위원회 부주임은 “중국이 통화 기조를 완화하더라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는 등의 위험이 나타나진 않을 것”이라며 금리 인하설에 무게를 실었다.

장빈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부소장도 “각 지방정부의 보이지 않는 부채에 대한 당국의 규제 강화로 각 지방의 재정이 악화됐다”며 “이는 경제 회복을 뒷받침할 통화정책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장 부소장은 앞서 지난달 한 행사 연설을 통해서도 “가능한 빨리 금리를 낮춰야 하며, 그 규모도 비교적 커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쉬 부주임과 장 부소장의 주장대로 실제 중국의 부채 통제 노력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2분기 부동산 대출 잔액 증가율은 최근 8년 사이 가장 낮은 숫자를 가리켰다. 11일 발표된 지난달 신규 위안화 대출도 9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7월 중국 신규대출은 1조800억 위안으로, 시장 예상지를 하회한 것은 물론, 전달치인 2조1200억 위안의 절반 수준이었다. 2020년 10월 이래 최저치이기도 하다. 당국의 부동산 대출 억제 조치에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다. 

다만 이는 지난달 15개월 만에 지급준비율(지준율)을 0.5%포인트 내린 점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의미기도 하다. 인민은행이 올해 추가로 지준율을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는 이유다.
지준율 추가 인하로 충분... 금리 인하 '시기상조' 목소리도
하지만 글로벌 전문가들은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추가로 인하한다면, 기준금리 인하가 크게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싱가포르의 오버시-차이니즈뱅킹의 토미 시에 범중국 리서치 총괄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지준율 인하는 가능하지만, 물가를 고려한 실질 기준금리는 여전히 낮은 편”이라며 “금리 인하는 시급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도 중국이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5.4% 상승했는데, 이는 전달 대비 상승세가 소폭 둔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

시장의 눈은 1년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만기가 도래하는 오는 17일에 쏠리고 있다. 이날 만기 도래 자금은 7000억 위안이다. 앞서 7월 만기물량(4000억 위안)보다 많다. 인민은행이 만기 물량보다 더 많은 자금을 시중에 주입하거나, MLF 금리를 인하한다면 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아진다.

MLF는 인민은행이 금융기관에 제공하는 1년물 중기대출로, MLF 금리는 정책 금리 역할을 한다. MLF 금리가 낮아지면 중국의 사실상 기준금리인 1년물 대출우대금리(LPR)도 인하되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