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풍선효과…비(非)오피스텔 거래량, 통계작성 이후 최대

2021-08-11 07:47
주택시장 규제에 상업·업무용 부동산으로

[그래픽=경제만랩 제공]


부동산 규제가 주택시장에 집중되자 상업·업무용 부동산으로 수요가 몰리는 분위기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간 유지되고 있는 데다가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과 정부가 경기 부양책으로 풀었던 통화량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오피스텔을 제외한 상업·업무용 거래량은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11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건물용도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지난해 상반기 15만6031건에서 올 상반기 18만1335건으로 전년대비 16% 증가했다.

거래량이 가장 늘어난 곳은 경기도였다. 2020년 상반기 4만9089건에서 2021년 상반기 6만743건으로 1년 만에 1만1654건 늘어났다.

이어 서울이 3만1380건에서 3만5565건으로 4185건 늘었고, 부산은 1만2279건에서 1만5579건으로 3300건 증가했다.

특히 비(非)오피스텔의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비오피스텔의 거래량은 10만2048건으로 전년대비 30.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의 거래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올 상반기 경기도의 비 오피스텔 거래량은 3만5810건으로 전년대비 35.2% 치솟았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지난해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을 확대하고, 이들 지역 내 신규 공급되는 100실 이상 오피스텔에 대해 분양권 전매 제한을 강화한 데다가 주거용 오피스텔을 주택수에 반영하면서 오피스텔 수요가 비오피스텔 시장으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택시장을 겨냥한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으로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상업·업무용 부동산이 인기가 커지고 있지만, '묻지마 투자'보다는 입지와 상품성, 배후수요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