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9월 '전세대출‘ 역대급 증가…전셋값 급등이 원인

2020-10-11 13:49

[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지난달 시중은행에서 취급하는 전세대출이 역대 최대치로 급증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진 영향이 컸다. 당분간 이 같은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11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세대출 취급 잔액은 99조162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달 대비 2조6911억원(2.8%)이나 증가한 수치다. 2016년 관련 집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2월(2조7034억원)과 증가폭이 비슷하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18조7091억원(23.3%)이나 불었다.

실제 수요는 이보다도 클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고신용자의 경우, 저금리 기조를 틈타 금리가 더 낮은 신용대출로 전세보증금 증액분을 충당했다. 이를 더하면 지난달 전세대출 증가폭은 사실상 사상 최대치다.

전세대출은 최근 석달 사이에 다시 증가폭을 키우는 추세다. 지난 2월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3월 2조2051억원, 4월 2조135억원, 5월 1조4615억원, 6월 1조7363억원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그러나 7월(2조201억원)에 다시 상승 전환한 뒤 8월(2조4157억원)과 9월에 증가폭을 키웠다.

여기에는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셋값이 상승한 게 영향을 미쳤다. 이후 전셋값은 오르고, 거래량은 줄어드는 양상을 지속하고 있다.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집주인이 전셋값을 미리 올린 게 급등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9월 전국 주택 종합 전셋값은 0.53% 올라 2015년 4월(0.59%) 이후 최대 상승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건수는 5055건으로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7월 1만1942건에서 8월 7660건으로 급감한 데 이어 9월에는 더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정부의 ‘전세대출 감소’ 정책이 실패했다는 지적도 있다. 앞서 정부는 '6·17 부동산 대책'을 통해 전세대출을 제한했다. 이어 7월 10일에는 규제 지역에서 시세 3억원 넘는 아파트를 사면 기존 전세대출을 갚도록 하는 등 강도 높은 조치를 취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실수요자 위주로 전세대출이 이뤄지도록 했는데도 대출 잔액이 늘어난 건 결국 근본적인 원인이 '전셋값 상승'에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분간 이러한 기조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임대인이 세입자와 연장 계약을 체결할 때 전세보증금을 크게 올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를 감안하면 당분간 전세대출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전셋값이 단기적으로 많이 올라와 있는 상황이고,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