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데이터·5G·AI 총동원... 정부, 속도전 펼친다
2020-07-15 13:35
정부가 디지털 뉴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한 5대 대표 과제를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디지털 뉴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설명했다. 민·관은 디지털 뉴딜에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58조2000억원(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해 90만3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선도국가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국민안전 기반시설(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을 5대 대표과제로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디지털 뉴딜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설명했다. 민·관은 디지털 뉴딜에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58조2000억원(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해 90만3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선도국가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데이터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국민안전 기반시설(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을 5대 대표과제로 선정했다.
데이터댐은 AI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가공하는 '데이터 라벨링' 사업으로 새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비즈니스와 산업을 육성하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1년까지 14만2000개의 공공 데이터를 공개하고,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30개로 확대한다. 또한 2025년까지 수요가 많은 AI 학습용 데이터 1300종을 추가로 구축해 민간에 공급한다.
한국이 강점을 가진 5G와 AI, 디지털 콘텐츠, 자율주행차를 결합한 5G 융합 서비스를 개발해 공공부문에 우선 적용하고,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위해 이동통신 3사에 투자세액 공제와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지능형 정부는 AI·5G·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개발, 정부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내년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 국민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도입하고, 이를 정부·금융·쇼핑 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부에서 이용하는 국가 유선망도 5G 무선망으로 전환해 공무원이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스마트 오피스를 구축한다. 또한 정부의 모든 서비스를 대화형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 국민 AI 비서 서비스도 도입한다. 2025년까지 공공정보 시스템(레거시)을 정부 클라우드(G클라우드)와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해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운영비용 절감을 꾀한다.
스마트 의료 인프라는 환자가 더 편하고 빠르게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병원, 호흡기 전담 클리닉 등 디지털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매년 3개씩 18개의 스마트 병원을 구축하고,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내년까지 전국에 1000여개를 세운다. 또한, 의료계와 논의를 거쳐 비대면 의료의 제도화를 추진한다.
SOC 디지털화는 도로·철도·공항 등 기반 시설에 AI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전 국도와 주요 간선도로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을 구축하고, 모든 철로에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한다. 또한 급경사지 등 위험지구에 재난 징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IoT 조기경보 시스템을 2022년까지 구축한다.
디지털 트윈은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해 한반도 전역을 디지털로 재현한 가상 공간이다. 자율주행차 핵심 인프라인 정밀 도로지도를 확대 구축하고, 이를 민간에 공개해 혁신 서비스 출시를 유도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전환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다. 비대면 시대가 열림에 따라 국가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이 재확인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전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기업과 국민이 디지털 뉴딜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점을 알고 있다. 속도감 있게 사업을 이행하여 정부가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는 마중물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이 강점을 가진 5G와 AI, 디지털 콘텐츠, 자율주행차를 결합한 5G 융합 서비스를 개발해 공공부문에 우선 적용하고,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위해 이동통신 3사에 투자세액 공제와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지능형 정부는 AI·5G·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개발, 정부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내년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 국민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도입하고, 이를 정부·금융·쇼핑 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의료 인프라는 환자가 더 편하고 빠르게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병원, 호흡기 전담 클리닉 등 디지털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매년 3개씩 18개의 스마트 병원을 구축하고,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내년까지 전국에 1000여개를 세운다. 또한, 의료계와 논의를 거쳐 비대면 의료의 제도화를 추진한다.
SOC 디지털화는 도로·철도·공항 등 기반 시설에 AI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전 국도와 주요 간선도로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을 구축하고, 모든 철로에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한다. 또한 급경사지 등 위험지구에 재난 징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IoT 조기경보 시스템을 2022년까지 구축한다.
디지털 트윈은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해 한반도 전역을 디지털로 재현한 가상 공간이다. 자율주행차 핵심 인프라인 정밀 도로지도를 확대 구축하고, 이를 민간에 공개해 혁신 서비스 출시를 유도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전환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다. 비대면 시대가 열림에 따라 국가 디지털 역량의 중요성이 재확인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전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기업과 국민이 디지털 뉴딜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점을 알고 있다. 속도감 있게 사업을 이행하여 정부가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는 마중물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