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기지국 열일] ① 코로나19 확산 차단 '위치 파악'
2020-07-15 08:00
지난 5월, 서울 이태원 클럽발(發) 코로나19 집단감염의 공포 속에서 확진자 확인을 도운 건 다음 아닌 '통신사 기지국'이었다.
이동통신 3사는 당시 요청에 따라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 서울시 등에 4월 24일부터 5월 6일까지 이태원 클럽 인근 기지국(17개)에 접속한 총 1만905명의 명단을 제공했다. 기지국 접속 범위는 용산구 이태원동으로, 코로나19와 관련한 '동(洞)' 단위 접속자 파악 협조가 네 번째로 이뤄진 때였다.
이통3사는 앞서 서울 구로구 콜센터, 동대문구 PC방, 서초구 서래마을 와인바 등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 위험이 발생했을 때도 감염이 의심되는 접속자 정보를 동 단위로 제공했다.
메르스 초기 대응 실패 원인 중 하나로 감염자 통제 제약이 지목됐다. 이에 KT는 위치정보 활용을 해결책으로 제안했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2017년 합류했다.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이 개발되고, 통신사가 국내 가입자 이동 경로를 정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이뤄지게 된 계기다.
기지국의 접속 기록은 모두 데이터·시스템화돼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물론 기지국 관리 담당자가 관계부처로 파견돼 접속자 파악 작업을 돕는 과정과 시행착오 등을 거쳤다.
하지만 국가적 비상 상황에 발 빠르게 대응했다는 여론이 우세했다. 또 통신사 관계자는 "체류 시간이 30분 미만으로 짧은 사람은 제외하는 등 일정 조건에 따라 접속자를 솎아낸다"며 "전혀 관련 없는 사람의 정보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대한의 조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