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줄 막힌 지방경제] 커지는 연체율에 높아지는 대출절벽
2020-01-22 08:53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지방에서 '돈줄'이 급격히 막히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금융사들이 이들 지역에서 대출을 더 조일 것으로 전망된다. 저성장 기조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방에서 대출 차주의 연체율 상승이 우려되면서다. 특히 경기에 취약한 중기대출의 문턱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서는 지역별 중기대출 연체율 추이를 봐야 하지만, 현재 관련 통계는 없다. 공장이 지방에 있어도 수도권이나 광역시에 위치한 본사가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지역을 기반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을 통해 분석이 가능하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제주은행 등 6개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총액은 98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901억원) 감소했다. 고정이하여신은 2018년 3월 말(1조2217억원)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2017년 말 1.47% △2018년 말 1.39% △2019년 9월 말 1.13% 등으로 개선되는 추세다. 분자인 고정이하여신을 줄이고 분모인 총여신은 늘린 덕분이다.
외연만 보면 지방은행을 이용하는 중소기업이 증가하거나 대출문턱이 낮아졌다. 하지만 대출문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 우량 중소기업만 지방은행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시중은행에 비해 지방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이 상당히 높은 점이 이를 방증한다.
실제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2014년 말 시중은행(1.78%)과 지방은행(1.81%)의 고정이하여신비율 차이는 0.03%포인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9월 말 격차는 2배 가까이(시중은행 0.57%, 지방은행 1.13%) 확대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역의 중소기업은 해당 지역의 지방은행을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인데, 지방 중기의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지방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며 "최근 지방은행들이 수도권 영업을 확대하는 것이 이와 무관치 않다"고 말했다.
각 권역에서만 영업할 수 있는 저축은행의 사정은 더 좋지 않다. 개인신용대출이 주 먹거리인 수도권의 대형 저축은행과 달리, 지방 저축은행은 해당 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영업한다. 하지만 중기 리스크가 커지자 대출 증가율을 축소하거나 대출액 자체를 줄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중기대출금 총액은 36조6569억원으로, 중기 부문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사태 여파에서 벗어난 2015년 무렵부터 중기대출을 확대하기 시작하면서다.
전년 동기 대비 저축은행의 중기대출 증가율은 2017년 말 21.4%에서 지난해 11월 말 9.1%로 다소 축소됐지만, 2015년 말(10.2%)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부산지역 저축은행의 중기대출은 2015년 말에 전년 동기 대비 9.3% 늘었지만, 지난해 11월에는 2.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경남지역 저축은행의 중기대출 증가율 역시 25.6%에서 3.3%로 대폭 축소됐다. 울산의 경우 2015년 말 -10.8%에서 2017년 말 36.5%로 크게 확대됐지만, 이후 꾸준히 감소하며 지난해 11월에 -13.8%를 나타냈다.
한 저축은행 고위 관계자는 "지방 저축은행은 해당 지역 중기들의 '젖줄' 역할을 한다"며 "그런데 경기 악화로 지방의 중소형사들이 중기대출 영업을 축소하고 있어 중소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