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빅데이터 활용 새로운 복지모델 구축하기로

2019-12-22 16:11
4가지 분야 70개 세부 과제 마스터플랜 확정


광주광역시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광주형 복지모델’을 구축하기로 해 주목된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4대 분야 70개 세부 과제에 관한 마스터플랜을 확정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복지정책 분야에서는 인구 추이와 복지 수요, 재정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거쳐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 중복 과다 유무를 살피는 등 복지재정과 사업에 대한 조정과 재구조화를 위해 광주복지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광주시청[사진=광주시 제공 ]



빅데이터는 연령별 유형별 복지수요와 사업별 영역별 서비스 제공기관(시설) 현황, 지역별 분포현황 등 복지 관련 모든 통계와 공공․민간․기업체가 지원하는 복지서비스와 일자리 정보를 담은 ‘광주복지통합전산망’이다.

광주시는 우선 내년에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2021년부터는 복지정책을 세울 때 빅데이터 결과를 활용할 계획이다.

또 광주사회서비스원을 설립하고 지역 중심의 통합 돌봄 복지모델인 커뮤니티 케어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복지재단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인건강타운 등 시설관리 업무를 다른 부서에 넘기고 정책 연구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복지행정 분야에서는 과제 실행력을 키우기 위해 내년 1월1일부터 복지건강국 사회복지과 안에 ‘복지혁신팀’을 신설하고 감사위원회에는 ‘사회복지감사팀’을 신설할 방침이다.

‘복지혁신팀’은 사회서비스원 설립, 빅데이터 구축, 광주복지 재설계 등 복지혁신 과제를 추진하면서 다른 부서 혁신과제 이행상황을 모니터링, 평가하게 된다.

‘사회복지감사팀’은 복지시설 감사계획을 세워 감사결과를 보고하고 처리하게 된다.

복지시설 분야에서는 복지수요와 인구추이에 따라 분야별, 종류별, 지역별 적정 시설 규모와 수를 설정하는 ‘복지 총량제’를 도입한다.

복지시설과 복지단체가 난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회복지분야 신규사업 및 신규시설 지원 심의위원회’를 통해 지원여부를 면밀히 검토하는 등 복지시설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또 사회복지시설과 법인 지도점검을 정례화하고 보조금 횡령, 부당노동, 인권침해 등 비리시설에 대해서는 토론회와 의견수렴을 거쳐 원 아웃제, 쓰리 아웃제 같이 강력하게 제재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시설 종사자들의 자긍심을 키우기 위해 주 52시간제, 유급병가제, 단일임금제 등 처우를 개선하기로 했다.

새로운 복지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 본예산에 사업비 163억 8100만원을 확보했다. 

한편 지난 18일 복지혁신 권고문에 따른 실행계획을 광주혁신추진위원회에 보고했고 오는 23일에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민․관․정 복지협치위원, 시민 등 150여명을 대상으로 ‘복지혁신 추진계획’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김일융 광주시 복지건강국장은 “복지예산이 전체 예산의 약 40%인 2조원을 넘어서 광주복지 실태를 면밀히 분석해 광주복지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면서 “광주혁신추진위원회가 권고한 70개 세부 과제들을 적극적이고, 전향적으로 추진해 광주형 복지모델을 구축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