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국민 메신저 카카오와 라인, 같은 듯 다른 금융플랫폼 전략
2018-11-25 10:35
- 카카오, 4000만 이용자 기반으로 간편결제, 투자 서비스로 보폭 넓혀
- 라인, 일본 현지 금융업계와 손잡고 증권, 보험 서비스 개시
- 라인, 일본 현지 금융업계와 손잡고 증권, 보험 서비스 개시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국민 메신저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카카오와 라인(네이버)이 금융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다수의 이용자를 기반으로 전보다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증권사를 인수하는 등 국내에서 자체 역량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라인은 글로벌 영역 확대를 위해 현지 유력 금융사와 손을 잡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25일 네이버와 카카오에 따르면 양 사는 각각 일본과 한국에서 핀테크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는 간편결제, 송금 서비스 자회사 카카오페이를 통해 ‘카카오페이 투자’ 서비스를 최근 선보였다.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이 서비스는 지난 24일 오전 기준 준비된 14건의 투자상품이 모두 마감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복잡한 절차가 없고, 예상 수익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등의 간편함과 직관성이 이용자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고 카카오 측은 설명했다.
지난 1일 바로투자증권 인수를 발표한 카카오페이는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카카오식 증권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금융 서비스를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러 증권사 중에 바로투자증권을 선택한 이유는 기존 증권업계의 틀을 깨기 위해서다.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는 “바닥부터 새로 만드는 게 더 편하다”며 “리테일의 트레이딩 중심 서비스가 아니라 증권 업무를 편리하고 간소화하는 게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페이는 내년부터 환전 없이 해외에서 결제하는 서비스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카카오의 금융업 진출 전략은 네이버의 라인과 상당 부분 유사하다. 네이버 또한 모바일로 플랫폼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2011년 6월 메신저 라인을 출시했다. 그러나 이미 한국은 카카오톡이 확고한 위치에 오른 상태였다. 네이버는 2012년 이웃 국가 일본으로 발을 넓혔고, 대만과 태국·인도네시아 등으로 시장을 넓혔다. 월간 사용자 수는 카카오보다 많은 1억6500만명(2018년 3분기 기준)에 달한다. 뒤늦은 진출이 네이버에 오히려 약이 된 셈이다. 라인 또한 카카오와 같은 해인 2014년 12월 온·오프라인, QR코드 결제 등이 가능한 간편결제 서비스 ‘라인페이’를 출시했다.
카카오와 라인이 한국과 일본에서 다수의 이용자를 확보한 후 핀테크 영역으로 밟을 넓힌 것은 동일하지만 세부 전략에선 차이가 있다. 라인은 일본 현지 금융사와 손을 잡는 방식을 택했다. 라인은 지난 1월 일본에서 ‘라인 파이낸셜’을 설립, 본격적인 금융업 진출을 알렸다. 이후 5월 일본 최대 증권사 노무라증권과 자본금 100억엔(약 1000억원)을 투입해 ‘라인증권’을 설립했다. 투자신탁, 자산운용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라인 메신저 내에서 이용자의 질문에 답변하는 챗봇과 콜센터를 운영하고 라인페이를 활용한 서비스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강재승 라인 파이낸셜 플러스 테크 리드는 “우리의 역량으로 금융 생활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를 고민하고 있다”며 “라인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친숙한 이용자 경험을 제공한 것처럼 금융에서도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