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용 칼럼] 4차 산업혁명과 두 개의 세상

2018-04-05 13:20

 

[박수용 서강대학교 교수]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 세상에는 두 개의 세상이 존재한다고 한다. 하나는 우리가 발을 딛고 사는 실물 세상(Real World)이고, 또 하나는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세상(Digital World)이다. 예전만 해도 디지털 세상은 실물 세상을 지원하고 보조하는 수단이었다. 고객들이 은행에서 창구 직원을 통해 업무를 보고 나면 뒷단에서 그 내용들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다시 창구에 처리 결과를 제시해 준다든지, 고객들이 백화점에서 편리하게 물건을 구매하도록 뒷단에서 자재관리, 물류 등의 업무을 자동화하여 지원하는 것들이 디지털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오면서 실물 세상의 보조 역할만 했던 디지털 세상이 도리어 실물 세상에 영향을 미치고, 디지털 세상에서 경쟁력을 잃으면 실물 세상에서도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는 현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세상에서의 경쟁력이 실물 세상에서의 기업 경쟁력 혹은 개인 경쟁력이 되는 세상이 시작된 것이다.

이미 이러한 현상들은 오래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미국 전역에 서점을 보유하면서 가장 많은 서적을 공급했던 보더스란 기업은, 책을 실물 세상의 서점이 아닌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세상에서 사고 팔 수 있는 온라인 서점을 시작한 아마존이라는 작은 신생기업에 10년이 채 안 되어 무릎을 꿇고 말았다. 이외에도 영화 비디오 유통의 세계적인 기업인 블록버스터도 디지털 세상의 경쟁력을 따라가지 못해 파산한 사례 등, 이제는 디지털 경쟁력이 실물 세상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시대가 된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MIT의 피터 웨일 교수가 어떠한 비즈니스를 하든지 디지털 경쟁력을 깆춘 기업이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이익률이 평균 30%나 높게 나온다는 보고를 한 것을 보면, 실물 세상이 얼마나 디지털 세상에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인가. 최근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소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구호 아래 나름대로 디지털 경쟁력을 가지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다. 가장 치열한 곳은 은행들이 아닌가 한다. 그렇지 않아도 IT 기술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분야에서 이제는 점포 없는 인터넷은행들의 출현은 마치 보더스의 아성을 깨뜨리려는 아마존의 등장과도 같은 느낌마저 받는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은행들은 디지털 세상을 실물 세상의 보조 정도로만 보는 시선이 대부분이었고, IT는 실무를 지원하는 보조 수단으로서의 기술로 취급되어 온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 기술들은 기존 은행의 시스템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기술로 부각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미래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대처 해야 할지 의견들이 분분한 것이 우리나라 은행의 현실이 아닌가 생각된다.

얼마 전 필자는 새로운 학회를 만들면서 정부에 등록을 하게 됐는데, 인감도장·인감증명서·등기부등본 등 요구되는 무수한 서류들을 보면서 우리를 진정 IT 강국이라 부르는 것이 맞는가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러한 것들은 왜 아직도 디지털화되지 못하는 것인지. 간단한 기업 통장 하나 만드는 데 요구되는 수많은 서류가 필요하고 사인해야 하는 수많은 관련 서류들을 보면서, 우리는 아직도 디지털 세상을 실물 세상의 보조 수단 정도로만 여기고 있다고 보여진다.

디지털화되어야 하는 미래의 중요한 것 하나를 꼽는다면, 필자는 화폐라고 생각한다. 머지않아 디지털 화폐의 세상이 올 것으로 전망되고 이에 대한 경쟁력이 곧 은행의 경쟁력, 아니 우리 경제의 경쟁력이 되는 것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화폐라고 부르는 암호화폐가 만들어지고 있는 게 그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것도 많이 있고 무분별한 투기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가 “미래에 디지털화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디지털화될 것”이라는 데 공감한다면 무조건적으로 이를 금지하는 정책은 디지털 세상에서의 경쟁력을 외면하는 정책이 아닌가 한다.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실물 세상의 우편을 대체할 수 있는 이메일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해 당시에는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하게 선정적인 메일이 전달된다는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했고 이메일을 통한 사기, 다단계 모집 등 여러 폐해들이 기사화되어 정부에서는 이를 규제하기 위한 수많은 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그 당시 이메일과 관련한 스타트업을 시작한 한 후배의 말이 흥미롭다. 이메일의 폐해를 취재하던 기자에게 그 후배는 3년 안에 당신의 명함에 이메일 주소가 써질 것이라 예견했고 그 기자는 코웃음을 쳤는데, 바로 그해 말에 그 기자의 명함에 이메일 주소가 쓰여졌다는 것이다. 정작 그 사업을 했던 본인도 예측 하기 힘들 정도로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회고였다.

우리 인간은 근본적으로 안정을 추구하고 변화를 거부하는 인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사실 변화라는 것은 고통이고 리스크이기도 하다. 그러나 변화 없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우위를 점할 수 있을까. 디지털 세상에서의 변화는 실세계의 변화보다 훨씬 빠르고 대규모로 진행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는 기존의 실물 세상을 기반으로 하는 고정관념이나 경험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지능의 척도는 변화하는 능력이다’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