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수출기업에 부담"

2018-03-22 14:28
신흥국 경제 불안 키워 수출 악영향...무협 "환헷지 등 대비"

[사진 제공= 무역협회.]


미국의 금리 인상 여파가 우리 수출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22일 무역협회는 '美 금리 인상과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위원회(Fed)가 올해 금리인상 횟수를 4회까지 늘리고, 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파월 연준 의장이 2018년 통화긴축 강화를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지난달 말 파월 총재는 미 의회에 출석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0%)에 근접할 것이다. 세계 경제는 계속 강세를 보이고 있고, 우리 재정 정책도 매우 경기부양적이다"며 미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바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가팔라지면, 신흥국의 외화유출에도 탄력이 붙는다. 이는 금융 및 실물경제가 급변할 수 있다는 얘기로, 경기 침체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신흥국 경제의 불안은 우리 수출기업에 악영향을 미친다. 무협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신흥국 수출비중은 2017년 기준 57.3%에 이르고 있다. 

무협은 "미국 금리 인상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면 달러 강세로 우리의 수출경쟁력에 일부 긍정적일 수 있다"며 "다만 신흥국 경기 침체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 금리 인상은 환율 불안을 키우는 요인이다. 이번에는 미국의 보호무역정책으로 인해 원화 가치가 절상될 공산이 크다.

이런 이유로 각 기업들이 미 금리 인상의 영향에 촉각을 기울이는 한편, 시나리오별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무협은 "달러 부채 규모를 적정 수준에서 관리하고, 환변동보험 등을 활용해 환리스크를 헷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또한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엔, 유로 등 통화 환율이 급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별 수출 및 수입 비중 등을 감안해 수출대금 회수 및 수입대금 지급 시점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Fed는 21일(현지시간)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상향한 1.5~1.75%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