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상규제 열공"...한자리 모인 韓기업들

2018-03-21 15:06

한국무역협회 주관으로 삼성동 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린 '통상현안 점검 및 대응전략' 세미나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이 강연을 듣고 있다. [사진= 류태웅 기자]


국내 기업들이 미국의 통상규제가 갈수록 강화한 데 따라 한자리에 모여 대응전략을 경청했다.

21일 한국무역협회 주관으로 삼성동 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린 '통상현안 점검 및 대응전략' 세미나에는 전자·화학·철강 등 130여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미국이 무역장벽을 높이는 배경 및 사례 등을 알아보고, 대응책을 제시하는 데 대부분 시간을 할애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미국의 반덤핑 신규 조사개시는 총 54건으로, 지난 10년 가운데 최대치를 기록했다.

제현정 무협 통상지원단 차장은 이같은 미국의 무역규제 조치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부터 미국 상무부가 직권으로 반덤핑, 상계관세 조사를 확대할 것으로 예측돼서다. 

이는 미국이 반덤핑 관세를 물리는 근거인 '자국산업 피해'의 범위가 애매하고, 광범위한 데 기인한다. 예를 들어 수입품의 미국 시장내 점유율 상승, 최근 1년 미만의 단기간 수입량 증가, 해외 기업의 생산능력 및 대미 수출 집중 정책 등에 해당하면 규제가 가능하다.

이에 제 차장은 "우리 기업들은 미국 업계가 주장하는 피해내용을 가능한 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선제 대비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자발적 노력을 촉구했다. 

통상 문제의 경우 기업, 정부, 유관기관 등이 공동 대응하는 게 맞지만, 직접적인 대응은 개별 기업의 몫인 만큼 우선 제소를 당하지 않도록 경쟁 기업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무역협회를 통한 현실적인 대응방안도 내놨다.

제 차장은 "무역협회는 국내 중소기업의 수입규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수입규제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다"면서 "기업들은 이 센터를 이용해 경쟁국 기업들의 수출 추이 및 미국의 수입 규제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반덤핑 절차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