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인사이트] 도덕적 해이와 역지사지
2017-06-27 06:00
김윤영 서민금융진흥원장
지난주 집 근처 공원에 산책을 나갔다가 모르는 두 남녀가 목청 높여 싸우는 모습을 봤다. 한 명은 아기 엄마였고, 또 다른 한 명은 반려견을 둔 남성이었다. 아이가 강아지 목줄에 발이 걸려 넘어지면서 다툼이 벌어진 것이다.
살펴보니 아기는 짧은 울음을 터뜨렸을 뿐 다친 곳 없이 멀쩡했고 목줄을 밟힌 강아지는 주인 옆에서 꼬리를 흔들고 있었다. 그럼에도 아기 엄마와 남성은 '강아지 목줄을 그렇게 길게 잡고 다니면 어떡하느냐', '아기를 제대로 돌봤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오랜 시간 싸움을 계속했다. 서로의 입장을 고려해 남성이 먼저 사과하고 아기 엄마가 그 사과를 받아줬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갈등이었다.
뉴스를 보다 보면 이와 비슷한 모습을 자주 접하게 된다. 주차 갈등으로 이웃에게 흉기를 휘두르거나 층간소음을 낸 위층 이웃에게 역(逆)층간소음을 유발하기 위해 천장에 스피커를 설치하는 일도 있다고 한다. 내가 받은 피해만 민감할 뿐 타인의 처지에 대해서는 둔감하다 보니 발생하는 일들이다. 아기 엄마, 남성, 이웃이 서로의 입장을 '역지사지(易地思之)' 차원에서 한 번이라도 헤아려 보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졌다면 어땠을까.
국민행복기금 출범 후 채무를 감면받은 57만명의 부채는 평균 1000만원이고, 평균 연체기간은 7년 3개월이었다. 이 중에는 고령의 연세에도 감면 후 성실하게 빚을 갚아나가는 이들도 있다.
만약 도덕적 해이라는 굴레를 씌워 채무조정을 지원하지 않았다면 57만명의 서민들은 경제활동에 복귀하지 못한 채 평생 금융채무 불이행자라는 낙인 아래 헤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결국 이것은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누군가의 고통을 그 사람만의 것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로 치환(置換)해보자. 이를 통해 우리 모두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기반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때 우리 사회는 더 건강하고 행복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