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욱일기',정확히 인식하고 경계해야
2017-03-21 15:48
6일 대전 평화의 소녀상에 욱일기를 꽂은 대학생이 경찰 조사를 받았다. 지난 해 광복절에는 가수 티파니가 SNS에 욱일기를 게재해 비판을 받았다. 이처럼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는 ‘욱일기’는 우리나라에서 뜨거운 감자다. 그렇다면 우리는 ‘욱일기’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욱일기는 기본적으로 태양과 그 햇살을 그림으로 표현한 깃발이다. 사실 욱일기의 기초 디자인이 되는 동그란 원과 그 주변으로 뻗어나가는 선은 일본 에도시대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사용해 왔던 문양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문양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쓰이면서 일본 군국주의를 대표하는 깃발이 됐다는 것. 지난 1870년 욱일기는 일본 육군의 국기가 됐고 1889년엔 일본 해군에서까지 쓰이기 시작하면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중반까지 일본군의 대표 깃발이었고 현 일본 자위대의 군기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이 깃발을 부르는 명칭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욱일기(旭日旗), 욱일승천기(旭日昇天旗), 전범기(戰犯旗) 등으로 부르고 있다. 과연 어떤 명칭이 옳은 것일까? ‘욱일승천기’의 경우 우리나라에선 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만 일본에서는 욱일승천기라고 부르는 사례는 찾기 힘들다. 또한 이 표현은 욱일기를 한 단계 높여 부르는 의미가 담겨져 있기도 하다. 한편 ‘전범기’는 욱일기를 포함한 전쟁 범죄에 사용됐던 모든 깃발을 통틀어 일컫는 표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에게 피해를 겪은 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욱일기를 에둘러 표현하기 위한 의미로 ‘전범기’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원래 명칭은 ‘욱일기’이고 ‘전범기’는 욱일기의 완곡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욱일기를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보고 금해야 한다는 입장에 맞서 욱일기의 사용을 금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측도 일부 존재한다. 이들의 대표적인 주장은 전범기는 욱일기가 아니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주요 정당 ‘대정익찬회’의 깃발인 ‘대정익찬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대정익찬회는 겉으로만 존재하는 허수아비 정당이었고 주요 실세였던 일본 군부의 깃발, 욱일기를 전범기로 봐야 한다고 반박하는 측도 있기에 이 두 관점의 논란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등 동아시아권에서 ‘절대 금기시’되는 욱일기가 다른 나라에선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 일본에선 일반인들의 욱일기에 관한 인식이 별로 없다. 물론 이를 인식하고 문제로 삼는 일본인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현 일본 자위대의 군기도 욱일기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고 각종 미디어나 회사 로고에서도 욱일기를 연상시키는 문양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문제의식이 적은 이유로 가장 손꼽히는 것은 교육 문제라고 보는 입장이 많다.
한편 동아시아를 제외한 아시아권의 욱일기 인식은 동아시아권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일본이 인도와 주변 국가들을 침략한 적이 없기 때문에 서아시아권은 물론 남아시아권에서도 욱일기에 대한 큰 악감정은 없는 편이다. 서양 역시 욱일기에 대한 인식은 동아시아권에 비해 부족하다. 유럽 일부 축구팀이 욱일기와 유사한 문양의 응원 깃발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한 적이 있는 등 보편적으로 욱일기에 대해 큰 관심이 없다.
아프리카 대륙 역시 욱일기의 인식이 매우 낮다. 아프리카 대륙은 역사적으로 유럽 국가의 지배를 받은 적은 있지만 일본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침략당한 적도 없고 식민지배 경험도 전무하기 때문에 욱일기에 대해서 거의 모르는 사람이 많다.
미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군과 격전했던 경험 때문에 욱일기에 대한 인지도는 있지만 그것의 사용에 대해 큰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 창문 장식품이 욱일기 문양을 닮았다고 학생들이 철거를 요구한 적이 있는데 대학 측에서 이를 거부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이의 제기가 완전히 없지는 않다. 워싱턴 포스트나 CNN 등 주요 외신에서도 욱일기와 나치의 하켄크로이츠를 동일선시 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욱일기 문양은 연예계에서는 물론이고 여러 미디어에서도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일본 우익의 혐한 시위에도 사용되고 있는 등 우리나라로서는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 많다. 일본 군국주의의 아픔을 겪은 하나의 나라로서, 군국주의를 대표하는 욱일기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에 대한 경계는 필수라고 볼 수 있다.
/글=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허재영 기자(아주경제 명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