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구조조정 지역경제 경제 악화... 정부 1조원 특례보증 시행

2016-09-05 12:00
223억 규모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 본격 시행... 12월까지 예산집행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조선업을 비롯한 구조조정 지역 경제의 자금사정 및 전반적인 업황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지역 내 소상공인 또한 경영여건 악화로 은행권 대출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대표적 조선업 밀집지역인 울산의 경우, 올해 4월 은행 예금 잔액은 전월대비 1816억원 줄고, 대출 잔액은 2188억원 증가했다.

실제 한국은행이 조사한 제조업 체감경기 역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제조업의 8월 업황BSI는 71로 전월보다 1p 하락했다. 제조업의 업황BSI가 떨어진 것은 지난 1월 65에서 2월 63으로 내려간 이후 6개월만이다.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며 해당업종(조선·기타운수) 지수의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6일부터 구조조정으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조선·해운 협력사 및 소상공인 등을 위해 1조원 규모의 '구조조정 및 일자리 지원 특례보증'을 시행한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및 영세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출금리는 시중금리 보다 낮추고(2.4~2.6%) 보증비율은 확대(85→100%)하는 등 보증요건들을 대폭 완화했다.

구조조정 지역 경기침체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전체 특례보증 규모의 50%에 해당하는 5000억원을 해당지역에 우선 배정했다. 조선사와 수주관계에 있는 협력사에게는 3억원까지, 조선업 단순 기자재 제조기업 및 해운업 구조조정 관련 피해업체에게는 1억원까지 지원한다.

구조조정 지역 5개 광역단체(경남·부산·울산·전남·전북) 내에서 영업 중인 소상공인 등에게는 5000만원까지, 조선·해운 관련업체에서 퇴직한 자의 창업자금에 대해서는 1억원까지 지원키로 했다.

이 밖에 중기청은 지난 2일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창업촉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편성한 223억원 규모의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도 본격 시행한다. 이번 추경예산 편성 취지를 고려해 오는 11월까지 창업자 선정, 12월까지 예산 집행에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구조조정 지역을 비롯한 전국 소상공인에 대한 은행권의 여신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관계부처 및 금융기관 간 정책공조는 물론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공급을 확대해 나갈 것”이며 “우리경제가 구조조정의 충격에서 하루 빨리 벗어 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주 청장은 지난 2일 전남 영암군 대불공단에서 조선‧기자재업체들의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업체방문 및 간담회를 개최하는 한편 정부정책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주 청장은 "조선‧기자재 업체들이 독자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로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플랜트‧발전설비‧특수기계 등 유망품목‧업종으로 사업다각화를 더욱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