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단독 과반 의석 확보 실패…16년 만의 ‘여소야대’

2016-04-14 01:45

새누리당이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독 과반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면서 사실상 참패했다. 친여 성향 무소속 당선자들이 합류하면 과반 의석을 간신히 확보할 수 있지만 ‘복당 불가’ 방침으로 이마저도 녹록치 못할 전망이다.[사진=윤정훈 기자]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새누리당이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독 과반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면서 사실상 참패했다. 친여 성향 무소속 당선자들이 합류하면 과반 의석을 간신히 확보할 수 있지만 ‘복당 불가’ 방침으로 이마저도 녹록치 못할 전망이다.

반대로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 3당은 과반을 확보, 2000년 16대 총선 이후 16년 만에 ‘여소야대’ 구도를 만들어냈다. 야 3당은 여당 독주를 막는 데는 성공했지만, 수도권 대다수 지역에서 ‘일여다야(一與多野)’를 야기, 야권 분열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새누리당의 과반 미달은 일방통행식 국정운영과 경제실정 등에 대해 국민의 심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다 탈당과 무소속 후보를 양산한 여당의 ‘막장 공천’에 지지층이 대거 이탈한 것이 주요 패배 원인으로 꼽힌다.

이로 인해 당은 총선 패배 책임론을 두고 친박(親朴) 대 비박(非朴) 갈등으로 또 한 번 내홍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여권의 위기감 또한 고조될 전망이다. 총선 직후 실시될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내년 대선을 앞둔 경선의 전초전 성격이 짙어질 가능성도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권력 누수) 가속화도 불가피 하다. 19대 국회를 최악의 ‘식물 국회’로 만든 주범으로 꼽힌 ‘국회선진화법 개정’이 여당의 과반 확보 실패로 불가해진 탓이다. 이번 총선 민심이 야당이 앞세운 ‘경제심판론’ ‘정권 심판론’에 손을 들 준 터라, 그동안 박근혜 정부가 강력 추진해온 노동개혁 등 4대 구조개혁과 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핵심 국정과제는 줄줄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됐다. 이른바 ‘진실한 사람(진박) 심기’로 총선 패배 책임론의 화살이 청와대로 향할 경우, 국정 막판 새누리당의 비호마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박 대통령도 역대 대통령의 전철을 밟아 정권 말 ‘탈당’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호남을 제외하고 신승한 더민주는 ‘문재인·김종인’ 체제가 공고해져 야권 재통합과 차기 대선 국면에 가속 페달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송파나루공원에서 최명길 후보 지원유세를 마친 후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호남을 제외하고 신승한 더민주는 ‘문재인·김종인’ 체제가 공고해져 야권 재통합과 차기 대선 국면에 가속 페달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통적 지지기반인 호남을 국민의당에 전부 빼앗긴 데 따른 지도부 책임론은 거세질 전망이다. 문 전 대표는 “호남이 지지를 거두면 대선 불출마” 배수진을 쳤지만, 그의 호남행을 탐탁치 않아했던 김종인 대표는 광주 전패 결과에 대해 “(문의 호남행) 영향이 전혀 없지는 않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향후 여소야대 정국에서 제1야당으로서 어떻게 주도권을 확보할 지가 더민주에겐 큰 숙제로 남게 됐다.

명실상부 ‘호남 1당’이 된 국민의당은 원내교섭단체를 구성, 3당 체제를 확고히 하게 됐다. 국민의당은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과 더민주 사이에서 결정적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자생력도 얻게 됐다. 다만 이번 총선 과정에서 야권 분열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호남 지역당’ 논란도 넘어야 할 산이다. 당장 안철수 상임대표는 부정적이지만, 더민주와 얼마간 냉각기를 거친 뒤 ‘정권 교체’라는 대의명분을 위해 재통합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