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화석 ‘옛새우’…국내 하천에서 세계 최초 발견

2016-04-10 12:00
낙동강생물자원관, 고유종 옛새우 신종 14종 서식 확인

옛새우가 발견된 국내 하천의 혼합대 개념도. [자료제공=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업으로 추진한 ‘2015년 국내 하천 무척추동물 공동조사’를 통해 옛새우 신종 14종을 국내 하천 혼합대에서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혼합대(hyporheic zone)는 하천에서 유입되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만나는 구역으로 특히 자갈 또는 모래톱이 쌓인 곳을 말한다. 우리나라 하천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옛새우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한강수계에서 6종, 낙동강수계에서 5종, 금강, 임진강, 강릉 임곡천에서 각각 발견된 1종 등이며 모두 고하목 너도고하과 딴옛새우속(Allobathynella)에 속한다.

옛새우는 일반적으로 새우라고 알려진 갑각류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무리로 지하수 또는 지하수가 스며드는 우물, 하천 등지에 살고 있다. 크기가 0.5∼2mm에 불과해 맨눈으로 보기 힘들며 전세계에 약 300종이 알려져 있다.

옛새우가 혼합대 내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또는 어떤 수질 조건에서 서식하는지는 세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옛새우는 그간 크기가 매우 작고 지하수에 주로 살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료가 거의 축적되지 않았다는 점도 발견되지 않은 이유다.

지난 1970년에 일본 학자 모리모토가 영월의 이름 없는 동굴에서 발견해 보고한 알로바티넬라 코리아나(Allobathynella. coreana)는 기준 표본 실체가 불분명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확증표본이 처음으로 확보됐다.

옛새우는 일본 7종, 우리나라 2종 등 총 9종만이 보고됐을 정도로 희귀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발굴은 통해 우리나라 하천 담수 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학술적 의의도 크다.

담수 무척추동물은 다슬기, 가재, 새우, 하루살이 등이 있으며 환경 변화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 환경오염이나 수질평가에 지표종으로 사용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옛새우 신종 14종에 대한 학술명 등 정보를 담은 논문을 세계적인 학술지인 저널 오브 스페시스 리서치(Journal of Species Research) 3월호에 게재해 국제 학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조주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조사연구실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담수 혼합대에서 옛새우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무척추동물이 살고 있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다”며 “이는 혼합대가 담수생물의 서식처로서 보전가치가 매우 큰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옛새우가 속한 너도고하과 종이 이번에 발굴된 14종을 포함해 최소 50종에 이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 수계에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담수 무척추동물이 2000여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국립생물자원관과 협업을 확대해 ‘국내 하천 무척추동물 공동조사’를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담수 무척추동물에 관한 전문 연구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